저자(한글) |
SUN, Wei-yang,YU, Zhi-jun,LI, Xue,CHEN, Qiang,GAO, Xiao-long,GUO, Jiao,ZHANG, Kun,LI, Yuan-guo,WANG, Tie-cheng,YANG, Song-tao,HUANG, Geng,ZHAO, Yong-kun,GAO, Yu-wei,XIA, Xian-zhu |
초록 |
목적: 유전자 공학 기술을 사용하여 B형 독감 바이러스(influenza B virus) B/Yamagata/16/88의 8개 유전자 단편을 전 유전자(total gene) 합성을 하고,또한 역 유전자 조작 기술(reverse genetic technology)을 사용하여 체외에서 B형 독감 바이러스 B/Yamagata/16/88을 구축한 후 BALB/c 쥐 감염 모델을 구축한다. B형 독감 바이러스의 발병 메커니즘, 전파 메커니즘에 대한 다음 단계 연구 그리고 새로운 백신 개발에 기초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법: 유전자 합성과 역 유전자 조작 기술을 사용하여 체외에서 B형 독감 바이러스 B/Yamagata/16/88을 구축한다. 전 유전체 서열 분석을 통해 본 바이러스 유전체 서열과 유전자은행 서열 간의 일치성을 검증한다. 그리고 10 5 EID 50 의 감염 용량을 적용하여 BALB/c 쥐를 인공 감염시킨 다음 몸무게 변화, 생존율, 폐에서의 바이러스 복제 등 측면에서 발병학적 분석을 한 후 쥐 감염 모델을 구축한다. 결과: 체외에서 B형 독감 바이러스 B/Yamagata/16/88을 성공적으로 구축하였고 B-S9로 명명하였다. 전 유전체 서열 분석 결과, B-S9 유전체의 서열은 유전자은행의 서열과 일치하였다. B-S9로 BALB/c 쥐를 인공 감염시킬 수 있었지만 죽지는 않으며, BALB/c 쥐에 발병성은 낮았다. 감염 후 3일이 되어 B-S9 감염 쥐의 몸무게는 감소하기 시작하였고 감염 후 8일이 되어 쥐의 몸무게는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감염 후 3일째와 6일째에 B-S9 감염 쥐의 폐에서 바이러스 복제를 검출하였고 감염 후 3일째 되는 쥐 폐에서 바이러스 역가(virus titer)는 감염 후 6일째 되는 쥐 폐의 바이러스 역가에 비해 132배 높았다. 결론: B형 독감 바이러스 B/Yamagata/16/88 역 유전자 조작 플랫폼과 BALB/c 쥐 감염 모델을 성공적으로 구축하였다. 현재 B형 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중국 내/외의 연구는 적다. 역 유전자 조작 플랫폼의 구축은 B형 독감 바이러스의 발병 메커니즘과 전파 메커니즘을 연구하는데 기초를 마련하였고 B형 독감 바이러스 약독성 생백신(live attenuated vaccine)을 포함한 새로운 백신 개발에 새로운 경로를 개척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