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림 공예와 미적 평가론 - 직조, 염색, 바느질을 중심으로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한국여성철학= Korean feminist philosophy |
ISSN | 1975-0013, |
ISBN |
저자(한글) |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2-01-01 |
초록 | nbsp; nbsp;본 논문은 분리주의적 공예 개념을 제안했던 선행 논문의 후속 연구로 공예의 미적 평가론을 제안한다. 분리주의는 살림 공예와 같이 부재와 부정항으로 간주된 비주류 공예를 포함하고 공정하게 평가할 수 있다. nbsp; nbsp;본 논문은 여성들의 살림 공예 중 직조, 염색, 바느질을 탐구한다. 인류사에서 지속적으로 그 실천을 이어온 살림 공예가 예술/공예/디자인 이론에서 배제되었던 역사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면서, 이들 이론에서 미끄러진 살림 공예의 특성들, 곧 공력, 협력, 소통, 재활용을 평가의 기준으로 제시한다. 또한 샘플러, 생활용품, 수도 등을 평가하면서 휴리스틱스 분석과 확장된 심미주의를 채택한다. nbsp; nbsp;공예는 포스트예술로 나아갈 수 있지만 총체적인 도구적 가치로서 공예의 유용성은 여전히 유효하다. 공예는 일상의 미학을 실현하며 자기반성과 사회적 가치 전환으로 나아간다. 공예의 여유, 향유, 통합성은 삶의 철학이자 실천인 것이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880712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공력,분리주의,살림 공예,소통,재활용,포스트예술,협력,확장적 심미주의,휴리스틱스,collaboration,communication,divisionism,domestic crafts,expanded aestheticism,heuristics,mastery,post-art,recycl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