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瑞花雙鳥文八稜鏡의 연원과 전개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韓國古代史探究= Sogang journal of early Korean history
ISSN 2092-572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nbsp; nbsp;이 논문은 慶州 川北 東山里에서 海獸葡萄文鏡과 함께 출토된 두 점의 瑞花雙鳥文鏡을 계기로 瑞花雙鳥文八稜鏡의 전개와 편년을 살펴본 것이다. 고려고분에서 출토된 銅鏡을 기준으로 瑞花雙鳥文鏡의 유형을 분류해 일본의 출토 사례와 그간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통일신라 동경의 제작과 사용양상을 함께 검토할 수 있었다. nbsp; nbsp;瑞花雙鳥文鏡은 唐의 雙鸞文鏡에서 시작한 唐鏡系 양식으로 통일신라 9~10세기부터 제작된 銅鏡임을 알 수 있다. 이후 고려에 와서도 통일신라 유형을 그대로 再鑄造하거나 11세기 후반 이후 鳥, 瑞花, 外形에 변화를 준 새로운 양식들이 제작되어 고려 후기까지 사용된 것으로 확인된다. 이로 볼 때 瑞花雙鳥文鏡은 海獸葡萄文鏡과 같이 고려에 들어와서도 꾸준히 선호되었던 唐鏡系 銅鏡으로 아직까지 일본의 영향으로 보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nbsp; nbsp;瑞花雙鳥文鏡 안에는 경주 천북 동천리 동경을 비롯해 통일신라 유형으로 은회색, 암갈색을 띤 銅鏡들이 전해지는데 일반적으로 산화되어 청록색을 띠는 高麗鏡과는 구분된다. 이는 주석의 성분비에 따른 것으로 주석의 함량을 높여 만든 鍮器와 함께 통일신라 공예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주석은 구리와 달리 자체수급이 어려웠던 광물로 산동 반도에서 공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장보고를 전후한 교역상황과 맞물리는 것으로 唐鏡의 주생산지였던 楊州와의 교역을 통해 동경의 제작기술, 주석을 비롯한 원료수급이 원활했던 상황과도 연결되는 것이다. nbsp; nbsp;또한 이 과정에서 再鑄造의 생산방식이 고려 이전부터 시작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관영체제가 아닌 私匠에 의해 제작된 私鑄鏡의 생산을 의미하는 것으로 9세기 이후 민영수공업의 형태로 변화된 통일신라 장인 체제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당시 동경의 소비수요를 감당했던 생산 방식으로 주변국인 중국, 일본과 동일한 경향으로 볼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88520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동경,瑞花雙鳥,고려고분,주석,再鑄造,海獸葡萄文鏡,통일신라 금속공예,장보고,Bronze mirror(銅鏡),Flower-shaped bronze mirror with paired bird and holy flower pattern,Goryeo Dynasty Tomb,Tin(錫),Bronze Recasting,Bronze mirror with lion and grapevine,Metalwork of Unified Silla,Chang Po-go(張保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