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전통공예의 전승과 변화 - 복조리 사례를 중심으로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실천민속학연구
ISSN 1975-574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nbsp; nbsp;조리는 곡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본래의 기능이 소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복조리의 형태로 남아서 미약하나마 아직까지도 보존 #x2024;전승되고 있다. 전국적으로 얼마 남지 않은 복조리 생산 마을 가운데 본고에서는 전라남도 화순군 송단마을, 전라북도 정읍시 상부마을, 경기도 안성시 안성구메농사마을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여 복조리의 전승실태와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과거에는 생활도구로 널리 쓰이던 조리가 현대사회에서는 전통공예로 전승되고 있다. 복조리 마을의 사례는 전통지식이 현대에 왜 그리고 어떻게 전승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좋은 경우이다. 생활용품이 그 본래의 기능을 상실해도 사라지지 않은 채 다른 문화적 의미를 담는 장식품으로 전승되며, 이 때 다른 가치들이 담기면서 창조된다. 조리의 경우도 복을 주어 담는다는 상징성과 장식품으로서의 예술적 가치가 남아서 전승되고 있는 것이다. 무형문화유산의 전승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역동적으로 변화되고 있고, 그러한 특성을 올바로 파악하기 위해 질적 조사와 체계적인 분석이 병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 복조리에 담긴 가치체계와 제작과정에서의 생산지별 변화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87584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복조리,전통공예,전통지식,전승,무형문화유산,Bokjori,traditional crafts,traditional knowledge,transmission,intangible cultural ass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