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dvances of physical oceanographic study on Prydz Bay and adjacent region, Antarctic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上海海洋大學學報 = Journal of Shanghai Ocean University
ISSN 1674-556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Guo, Ping,Dong, Zhaoqian,Shi, Maochong,Liu, Hongshe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남극 프릿츠만(Prydz Bay)과 그 인근 해역의 핵심적 물리해양학적 문제(key physical oceanographic issues)에는 수괴(water mass) 특성, 순환 특성, 빙붕-해양-해빙 상호작용(ice shelf-ocean-sea ice interactions) 등이 포함된다. 해당 해역의 수괴는 남극 표층수(Antarctic Surface Water), 주극 심층수(Circumpolar Deep Water), 남극 저층수(Antarctic Bottom Water), 남극 대륙붕수(Shelf Water), 남극 빙붕수(Ice-shelf Water) 등으로 나뉘었으며, 외부 조건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시공간적 변화가 뚜렷하였다. 프릿츠만 해역의 순환은 프릿츠만 환류, 서향 연안류와 동향 주극류 및 이 두가지 순환 사이의 남극 발산대(Divergence zone) 순환으로 구성되었으며, 지형은 순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 요소였다. Emary 빙붕-해양 상호작용 과정은 프릿츠만 해역의 수괴 특성과 순환 특성에 뚜렷한 영향을 미쳤다. Emary 빙붕 밖의 해수가 얼음동굴(ice cave)에 진입하여, 빙붕 밑부분의 융해 및 동결을 초래하였는데, 그 중요한 원인은 아이스 펌프(ice pump) 메커니즘이었다. 빙붕-해양-해빙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형성된 저온 고염수(cold and saltier water)는 남극 저층수를 형성하는 잠재적 요소였다. 현지 관측을 강화하고, 고해상도 빙붕-해양-해빙 모델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프릿츠만 해역 물리해양학의 핵심과정과 변화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중요한 수단이며, 남극 연구의 발전 추세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380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rydz Bay,water mass,circulation,ice shelf-ocean interaction,프릿츠만,수괴,순환,빙붕-해양 상호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