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Park, Seung-Young,Park, Jung-Min,Yang, Jin-Oh,Jung, Hoo-Kil,Chun, Ho-Nam,Lee, Byong-Hoon |
초록 |
국내산 UHT-ESL우유와 UHT 처리우유 총 150 packs을 냉장온도 (7 $^{ circ}$ C)와 실온 (20 $^{ circ}$ C)에서 5주간 저장하면서 1주마다 5 packs씩 시료로 취하여 미생물 함유 우유 packs의 발생시기, 발생 수와 미생물 종류별 함유 수준 등을 조사하였으며, 살균 후 2차 오염미생물로서 salmonella spp.와 staphylococcus aureus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다. 총균수는 무균포장 공정을 실시하지 않은 UHT 처리우유가 UHT-ESL 우유보다 출현시기가 빠르고, 미생물 함유수가 많아 미생물학적 품질이 약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제품군 모두 대장균군은 출현하지 않았으며, 호기성 포자형성균은 UHT 처리우유 2 제품에서 각각 7일 및 14일 만에 포자가 발아한 우유 pack이 1 pack씩 나타났으며, 7 $^{ circ}$ C에서 저장한 우유보다20 $^{ circ}$ C에서 저장한 우유에서 포자가 발아한 우유 pack의 수가 많았다. 내열성균은 2 제품군 모두 130 $^{ circ}$ C 이상의 열처리로 인하여 14일까지 출현하지 않았으나, 20 $^{ circ}$ C에서 저장한 우유는 21일 후( ${ sim}$ $^{ circ}$ C에서 저장한 우유는 28일 후(40 ${ sim}$ 3,600 CFU/ml)에는 모든 pack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내냉성균은 UHT-ESL우유는 28일부터 측정되었으나, 한 제품의 UHT 처리우유는 7일 후부터 7 $^{ circ}$ C에서는 3,900 ${ sim}$ 102,000 CFU/ml까지, 20 $^{ circ}$ C에서 는 7일부터 28일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