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Microbiological Qualities and Post-Pasteurization Contaminations of UHT Milk Produced in Kore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technology
ISSN 1266-123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Park, Seung-Young,Park, Jung-Min,Yang, Jin-Oh,Jung, Hoo-Kil,Chun, Ho-Nam,Lee, Byong-Hoo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6-01-01
초록 국내산 UHT-ESL우유와 UHT 처리우유 총 150 packs을 냉장온도 (7 $^{ circ}$ C)와 실온 (20 $^{ circ}$ C)에서 5주간 저장하면서 1주마다 5 packs씩 시료로 취하여 미생물 함유 우유 packs의 발생시기, 발생 수와 미생물 종류별 함유 수준 등을 조사하였으며, 살균 후 2차 오염미생물로서 salmonella spp.와 staphylococcus aureus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다. 총균수는 무균포장 공정을 실시하지 않은 UHT 처리우유가 UHT-ESL 우유보다 출현시기가 빠르고, 미생물 함유수가 많아 미생물학적 품질이 약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제품군 모두 대장균군은 출현하지 않았으며, 호기성 포자형성균은 UHT 처리우유 2 제품에서 각각 7일 및 14일 만에 포자가 발아한 우유 pack이 1 pack씩 나타났으며, 7 $^{ circ}$ C에서 저장한 우유보다20 $^{ circ}$ C에서 저장한 우유에서 포자가 발아한 우유 pack의 수가 많았다. 내열성균은 2 제품군 모두 130 $^{ circ}$ C 이상의 열처리로 인하여 14일까지 출현하지 않았으나, 20 $^{ circ}$ C에서 저장한 우유는 21일 후( ${ sim}$ $^{ circ}$ C에서 저장한 우유는 28일 후(40 ${ sim}$ 3,600 CFU/ml)에는 모든 pack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내냉성균은 UHT-ESL우유는 28일부터 측정되었으나, 한 제품의 UHT 처리우유는 7일 후부터 7 $^{ circ}$ C에서는 3,900 ${ sim}$ 102,000 CFU/ml까지, 20 $^{ circ}$ C에서 는 7일부터 28일까지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063603663376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UHT-ESL milk,UHT milk,microbiological quality,post-pasteurization cont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