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 Yang,LIU, Ping,LI, Jian,LI, Ji-tao,GAO, Bao-quan |
초록 |
밀새우(Exopalaemon carinicauda) 원장배(Gastrula) 시기의 수정란을 소재로 하고 저 투수성 기법(Low permeability method)과 hot film drops 기법을 사용하여 염색체를 제조하며 밀새우에 대하여 세포유전학 연구를 진행하였다. 핵형(karyotype) 분석 결과, 50마리 밀새우의 암새우 수정란 중, 100개의 양호한 유사분열 중기에서 염색체 수를 계산하였으며 염색체 수효가 90이 나타나는 차수가 제일 높았고 81%에 이르렀다. 이로 인하여 밀새우 2배체 염색체 수효가 90 및 2n=90이라는 것을 확정할 수 있었다. 유사분열 중기에서 염색체 팔길이를 측정하고 분석한데 의하면, 중부 동원체 염색체(Metacentric, m)는 56개, 아중부 동원체 염색체(sm)는 총 8개, 아말단 동원체 염색체(st)는 총 12개, 말단 동원체 염색체(t)는 총 14개이며 핵형 조성 공식은 2n=56m+8sm+12st+14t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성 성염색체의 존재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