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꼽수술부터 줄기세포까지 - 발전주의 성과에 가려진 여성의 몸과 공동체의 미래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젠더와 문화 = Gender and Culture |
ISSN | 2005-6354, |
ISBN |
저자(한글) |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2-01-01 |
초록 | nbsp; nbsp;이 글은 한국의 재생산 기술의 역사를 발전주의 비판과 여성주의 시각에서 분석한다. 일명 배꼽수술로 불린 난관 결찰술부터 시험관아기 시술을 거쳐 오늘날의 줄기세포로 대표되는 세포 유전학 연구까지 한국의 재생산 기술은 동일한 행위자에 의해 동일한 공간에서 동일한 재원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선행하는 기술의 공세적 개발과 여성의 몸에 대한 급속하고도 광범위한 적용이 후속 기술의 빠른 정착의 주요한 선제 조건이 되었다는 점에서 이들 기술은 연속선 상에 있다. nbsp; nbsp;재생산 기술은 여성의 몸을 대상으로 한다. 또한 재생산 기술에 뒤따르는 결과는 인구통제이든 새로운 가족/국가의 구성원의 탄생이든 공동체의 미래와 직결된다. 이러한 점에서 재생산 기술의 실천은 여성의 몸과 공동체의 미래를 고려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재생산 기술 역사를 관통 하는 일관된 틀은 성과 지향적 발전주의이다. 그 결과 여성의 몸과 공동체의 미래는 위험에 처하게 되지만 이 위험에 대한 문제 규정이나 대처는 모두 개인의 몫으로 돌려질 뿐 공적인 문제로 인식되지 않는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888513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재생산 기술,복강경 난관 결찰술,체외수정(시험관아기),줄기세포,발전주의,reproductive technology,laparoscopic tubal ligation,in vitro fertilization (test-tube baby),stem-cell,developmentalis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