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Detection of mRNA Expression of hTERT at Single Cell Level by Real-time PCR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中國生物化學與分子生物學報 = Chinese journal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ISSN 1007-762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 Nan,HUANG, Li,HE, Bing,ZHONG, Yan-Ping,LIN, Ruo-Yun,LI, Li,XUE, Lin-Tao,WANG, Shi-Kai,LI, Dan-R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hTERT(human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의 발현 및 텔로머라제 활성은 밀접한 연관이 있다. 그러나 여러차례의 연구 결과, 텔로머라제가 종양 발생, 발전, 세포 불멸화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세포 기술로 난소암 SKOV3 세포가 hTERT로 형질 도입된 전후 및 mRNA 발현의 차이에 대해 토론하기 위하여 초기 렌티 바이러스 형질을 통과시키고, hTERT 유전자를 가진 발현 플라스미드 벡터 LV4一pGLV mdash;EF1a mdash;EGFP mdash;hTERT를 난소암 SKOV3 세포주에 전이하고, 안정한 발현 hTERT 단백질 세포주(SKOV3h)를 구축하고 동시에 빈 벡터 감염 그룹(SKOV3b)와 원상태 그룹(SKOV3)을 대조그룹으로 정하였으며, 유동 세포 계측법을 사용하여 정렬한 서로 다른 수량의 세포에 실시간 PCR 감별하였다. 분석결과, 50개 이하의 세포를 예비 탐색하였고 세포 개수의 증가에 따라 Ct 수치는 점차 증가(P lt;0.05)하였다. 또한, SKOV3 h 그룹과 hTERT 유전자 mRNA 발현은 가장 높았으며 SKOV3 b 그룹은 그 다음으로 높았고 SKOV3 그룹의 발현은 가장 낮았다(P lt;0.05). 이는 SKOV3 세포가 hTERT 유전자로 형질 전환된 후 유전자 mRNA 발현을 촉진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동시에 이 방법으로 단일 난할구 내 hTERT 유전자 발현을 검측하였고 단일 세포 단일 유전자 유전학 진단 및 종양학 연구에 기초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48382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ingle cell,real-time PCR,human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hTERT),flow cytometry,단세포,실시간 PCR,hTERT,유동 세포 계측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