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Dysregulation of RNA in cancer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中國腫瘤生物治療雜誌 = Chinese journal of cancer biotherapy
ISSN 1007-385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XUE, Yiquan,CAO, Xueta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종양의 발생은 다요인, 다단계적 과정으로서 근복적 원인은 세포의 안정성이 파괴된 것이다. 최근 연구 결과, 종양의 발생과 발전 중에 단백질의 기능문란과 DNA 돌연변이 뿐만 아니라 대량의 RNA의 비정상이 존재하는데 microRNA(miRNA)의 비정상, 긴사슬 비코딩RNA(long non-coding RNA, lncRNA)의 비정상, 순환 RNA(circulating RNA)의 비정상(dysregulation) 등이 포함된다. 그 리고 종양세포 중에 RNA 전사, 가공 및 조절 기능의 비정상이 존재하는데, 예를 들면 RNA 선택적 스플라이싱(RNA alternative splicing), RNA 편집(RNA editing), 경쟁 내인성 RNA 조절(competing endogenous RNA regulation) 등이다. 이러한 비코딩 RNA는 전사 후 수준 및 표관유전학(epigenetics) 수준에서 종양유전자(oncogene)와 종양억제유전자(tumor suppressor gene)의 기능을 조절하며, 종양의 발생과 발전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중양의 진단, 치료 및 예후판단의 잠재적 표적(potential targets)이다, 경쟁내인성 RNA는 lncRNA와 mRNA가 miRNA를 통하여 상호 조절작용을 하게 하며, 또한 'miRNA결합위치'를 매개체로 하여 RNA 조절망을 형성한다. RNA 선택적 스플라이싱은 종양유전자 혹은 종양억제 유전자가 기능이 비정상인 전사물(transcript)을 생성하게 하여 종양유전자 혹은 종양억제 유전자의 생물학적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종양 중 어떠한 메커니즘이 RNA의 발현 및 기능의 비정상을 초래하고, RNA 발현 및 기능의 비정상은 어떻게 종양의 발생과 발전에 영향을 미치며, 또한 어떠한 발현 혹은 기능이 비정상인 RNA가 종양의 진단 및 예후판단에 이용되는 표적물이 될 수 있으며, 어떠한 RNA가 종양의 표적치료에 이용되는 표적물로 될 수 있는가 하는 등의 문제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RNA의 비정상 및 종양조절은 종양 연구에서 관심사가 되고 있는 분야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909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neoplasms,microRNA,long non-coding RNA,RNA alternative splicing,RNA editing,biomarker,targeted therapy,종양,마이크로RNA,긴사슬 비코딩RNA,RNA 선택적 스플라이싱,RNA 편집,바이오마커,표적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