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patio-temporal change on township scale of Jinta oasis in the latest 20 year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GONG, Jie,XIE, Yu-chu,SUN, Peng,JIE, Yao-we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원격탐사, GIS 기술과 1990, 1999, 2006, 2009년 등 4기 Landsat TM/ETM+ 원격탐사 영상에 기반하고, 오아시스 변화 폭, 동태 모델, 오아시스 변화 추세 지수 모델, 오아시스화 및 황막화 전이 행렬(transition matrix)을 이용하여 향진(villages and towns) 스케일에 기반한 진타 오이시스(Jinta oasis)의 시공간 변화 및 분화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1990년부터 2009년까지 진타 오아시스는 부단히 확장되었고, 황막 면적은 감소 추세를 나타냈으며, 오아시스의 순 면적 증가량은 199.49 km 2 에 달하였다. 전체 진타 오아시스는 비평형 상태에 속하였으며, 향진 오아시스의 변화 정도는 다양하였고, 향진 오아시스 규모의 변화도는 양징쯔완향(Yangjingziwan town) gt;진타 관할지역(Precinct of Jinta county) gt;둥바진(Dongba town) gt;싼허향(Sanhe town) gt;구청향(Gucheng town) gt;진타진(Jinta town) gt;중둥진(Zhongdong town) gt;다좡쯔향(Dazhuangzi town) gt;시바향(Xiba town) 순이었다. 진타 오아시스의 집적도(aggregation degree)는 증가하였고, 경관의 파편화 정도는 감소하였으며, 황막 기질의 우점도는 감소하였다. 오아시스 확장지역으로는 주로 양징쯔완향, 진타 관할지역, 둥바진, 진타진, 구청향과 싼허향 등이 있었다. 최근 20년 동안 진타 오아시스의 변화는 주로 인문 요소와 사회 요소의 영향을 받았으며, 수자원의 개발 이용은 오아시스 확장의 전제 조건이었고, 인구(이민 유입을 포함), 경제 발전, 정책과 과학기술 진보는 주요한 추진 요소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746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Jinta oasis,spatio-temporal,moving Change,township scale,human activities,진타 오아시스,시공간 패턴,동태 변화,향진 스케일,인류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