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식은 지향성에 우선적인가?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철학적 분석= Philosophical analysis |
ISSN | 1598-9275, |
ISBN |
저자(한글) |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08-01-01 |
초록 | 써얼에 따르면 심성적인 것의 가장 중추적인 특성은 의식이다. 써얼은 심성의 무의식적 심성상태의 지향적 특성이 의식적인 접근 가능성을 통해서만 해명될 수 있다는 이른바 연결원리를 통하여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연결원리에 대한 서얼의 논증이 잘못된 가정에 근거하고 있음을 보임으로서 이러한 주장을 반박하는 것이다. 써얼의 논증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심성의 양태적 모습이 삼인칭의 행동적 혹은 신경생리적 술어를 통해서는 완전하게 규정될 수 없다는 전제이다. 필자는 생물학적 기능에 호소하는 밀리칸 식의 입장이 의식적 접근 가능성에 호소하지 않으면서도 생물체의 심성상태가 갖는 양태적 모습을 삼인칭적으로 결정해 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7128743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의식,지향성,양태적 모습,연결원리,consciousness,intentionality,aspectual shape,connection princip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