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Remote-sensing estimate of the carbon storage of subtropical Pinus massoniana forest in the Hetian Basin of County Changting,Chin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HUANG, Shao-lin,XU, Han-qiu,LIN, Na,ZENG, Hong-da,LIU, Zhi-cai,CHEN, Wen-hui,WANG, Lin,YANG, Ran-r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세계 기후의 변화와 더불어 삼림 생태계의 탄소 저장량 변화는 날이 갈수록 주목을 받고 있다. 푸젠성 창팅셴 허톈 분지(the Hetian Basin in County Changting, Fujian province)를 사례로 하여, 마미송림(Pinus massoniana forest)의 탄소 저장량 산정에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을 연구하였다. 2010년의 야외 샘플 조사를 통하여 마미송림의 실제 데이터를 얻은 후, 해당 데이터와 같은 시기 ALOS(Advanced Land Observing Satellite) 원격탐사 영상 기반의 식생 스펙트럼 정보를 비교하였다. 5가지 원격탐사 식생 지수와 마미송림 탄소 저장량의 상관관계 연구를 통하여, 정규 식생 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에 기반한 최적의 마미송림 탄소 저장량 산정 모델을 선정하였다. 정확도 분석 결과, 해당 모델의 평균 상대 오차는 -1.95%, RMSE(root mean square error)는 3.01 t/km 2 였다. 그러므로 해당 모델을 이용하여 연구지역 내 마미송의 탄소 저쟝량을 효과적으로 산정할 수 있었다. 해당 모델을 이용하여 산정한 결과, 2010년 허톈 분지 내 마미송림의 총 탄소 저쟝량은 114.58×10 4 t, 탄소 밀도는 34.92 t/km 2 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741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remote sensing,Pinus massoniana,carbon storage,Changting,원격탐사,마미송,탄소 저장량,창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