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Atmospheric Aerosol Volume Distribution in Beijing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中國海洋大學學報 . Journal of ocean university of China 自然科學版 |
ISSN | 1672-5174, |
ISBN |
저자(한글) | YAN, Feng-qi,SONG, Huai-rong,GUO, Qi,WU, Do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본 논문은 AERONET에 에어로졸(aerosol)의 월 평균 데이터를 이용하여 중국 베이징(Beijing)시 대기 에어로졸의 부피 분포(aerosol volume distribution)와 광학적 두께(optical thickness), Angstrom지수, 미세 모드 분율(fine mode fraction) 및 단산란 알베도(single scattering albedo) 사이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봄철 베이징시 에어로졸의 부피 분포에서 성김 모드 입자(coarse mode particles)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최대 피크 반경은 약 3 mu;m이다. 여름철 베이징시 에어로졸 부피 분포에서는 미세 모드 입자(fine mode particles)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최대 피크 반경은 약 0.25 mu;m이다. 성김 모드 분포의 최대 피크가 비정상적으로 커지는 주요 원인은 황사이며 파인 피크 분포의 최대 피크가 비정상적으로 커지는 주요 원인은 온도와 습도이다. 흡수체 입자(Absorbent particles)의 농도가 낮은 상황에서 미세 모드 입자가 주도적인 지위를 차지할 때, 단산란 알베도(single scattering albedo)는 파장이 커짐에 따라 점차 줄어들고 성김 모드 입자가 주도적인 지위를 차지할 때 단산란 알베도는 파장이 커짐에 따라 점차 커진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9318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aerosol volume distribution,aerosol optical thickness,Angstrom exponent,fine mode fraction,single scattering albedo,에어로졸 부피 분포,광학적 두께,Angstrom 파장 지수,미세 모드 분율,단산란 알베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