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orrelation Study of AM and DSE Fungi and Soil Factors in the Rhizosphere of Ammopiptanthus mongolicu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西北植物學報 = Acta botanica boreali-occidentalia sinica
ISSN 1000-402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NG, Shu-rong,HE, Xue-li,XU, Hao-bo,LIU, Chun-mao,NIU, Ka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2012년 6월에 인촨(Yinchuan), 사포터우(Shapotou), 민친(Minqin) 등 세 개 지역의 Ammopiptanthus mongolicus 근권에서 다섯 개 토양층(0~10, 10~20, 20~30, 30~40, 40~50cm)의 토양 샘플과 뿌리 샘플을 채집하고 Ammopiptanthus mongolicus 근권에 있는 AM과 DSE 진균의 공간 분포와 토양 인자의 생태 작용을 연구하여 Ammopiptanthus mongolicus이 토양 진균과의 공생 관계를 밝히고 공생 진균 자원을 이용하여 Ammopiptanthus mongolicus의 생장을 촉진하고 황사지 식생(desert vegetation)을 복원하는 데 근거를 제공하였다. 그 결과: (1) Ammopiptanthus mongolicus 근계는 AM과 DSE 진균에 의해 심각하게 오염이 되었으며 공생 정도와 생태 분포는 뚜렷한 공간 이질성을 보였다. (2) 사포터우 샘플 지역에서는 AM 진균의 총 군집률(colonization ratio)이 가장 높았고 민친 지역은 DSE 군집률이 가장 높았으며, 각각 다른 샘플 지역의 균사, 포낭, 가지와 군집 강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같은 샘플 지역의 각각 다른 토양층 내 AM 진균의 총 군집률과 DSE 군집률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상관성 분석 결과, AM 진균의 총 군집률은 토양 속효 P와 정적 관계를 보였으며; 소낭(vesicles) 군집률은 유기질과는 뚜렷한 정적관계를, 속효 P와는 아주 뚜렷한 정적관계를 보였다. 군집 강도는 총 TEG(Total Glomalin)와 뚜렷한 정적관계를 보였고 알칼리 분해 N 및 속효 K(available K)와 아주 뚜렷한 정적관계를 보였으며; DSE 군집률은 EEG(Easily extractable Glomalin)와 아주 뚜렷한 정적관계를, 알칼리 부내 N과 뚜렷한 정적관계를 보였다. (4) 경로 분석(Path analysis) 결과, 토양 유기질, EEG와 속효 K는 직접적인 작용을 거쳐 AM 진균의 총 군집률과 DSE 군집률에 영향을 미쳤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855959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M fungi,DSE,soil factor,spatial distribution,Ammopiptanthus mongolicus,AM 진균,DSE 진균,토양 인자,공간 분포,Ammopiptanthus mongolic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