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논문에서는 CEOF 분석법을 이용하여 연간 열대 태평양 해역의 상층류 이상에 대하여 동적인 통계학적 진단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CEOF로 열대 태평양 상층류 이상을 분해한 제1 및 제2 공간 모드는 모두 적도에서 획득한 것이며, 또한 적도의 남북 방향에서 모두 신속히 약해지는 추세를 보이면서 적도 포획파 형식(capture wave)으로 표현되었다. 제1 및 제2 모드의 시간 계수 복소수였는데 그 인수(argument)는 모두 2개 상태에 집중되어서 이 모드를 유동장 이상의 편차로 표시하였다. 이 시간 계수는 모두 연간 변화 및 십년 주기 변화가 있었으며 또한 그 연간 변화의 주기는 모두 ENSO와 유사하였다. 겨울철 동안, 그 십년 주기 변화는 각각 북태평양 주요 기후 모드 PDO와 NPGO 및 CEOF로 열대 태평양의 유동장 이상을 분해하기 전의 2개 모드의 주기 등과 유사하거나 근사하였는데 이는 열대와 중위도 내 각 대기 및 해양 시스템 사이의 상호 결합을 반영하였다. 각 모드의 유동장 이상으로 부터 상응한 수직 운동 이상을 얻은 후, SSTA의 동적 변화를 추정할 수 있었다. 제1 모드는 적도 동쪽 및 서태평양에서 동서 방향의 시소(seesaw) 변화를 보였으며, 제2모드는 서태평양 적도 및 그 북쪽의 서태평양 웜풀에서 남북 방향의 시소 변화를 보였다. 제1모드의 특성은 해양 적도 Kelvin파의 이상이며, ENSO의 주요 모드라고 할 수 있다. 제2모드의 특성은 혼합된 Rossby-관성중력파의 이상이며, ENSO의 2차 모드라고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