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EOF analysis for upper current of tropic Pacific Ocea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預報 = Marine Forecasts
ISSN 1003-023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U, Xu,BAO, Yun,LV, Qing-p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CEOF 분석법을 이용하여 연간 열대 태평양 해역의 상층류 이상에 대하여 동적인 통계학적 진단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CEOF로 열대 태평양 상층류 이상을 분해한 제1 및 제2 공간 모드는 모두 적도에서 획득한 것이며, 또한 적도의 남북 방향에서 모두 신속히 약해지는 추세를 보이면서 적도 포획파 형식(capture wave)으로 표현되었다. 제1 및 제2 모드의 시간 계수 복소수였는데 그 인수(argument)는 모두 2개 상태에 집중되어서 이 모드를 유동장 이상의 편차로 표시하였다. 이 시간 계수는 모두 연간 변화 및 십년 주기 변화가 있었으며 또한 그 연간 변화의 주기는 모두 ENSO와 유사하였다. 겨울철 동안, 그 십년 주기 변화는 각각 북태평양 주요 기후 모드 PDO와 NPGO 및 CEOF로 열대 태평양의 유동장 이상을 분해하기 전의 2개 모드의 주기 등과 유사하거나 근사하였는데 이는 열대와 중위도 내 각 대기 및 해양 시스템 사이의 상호 결합을 반영하였다. 각 모드의 유동장 이상으로 부터 상응한 수직 운동 이상을 얻은 후, SSTA의 동적 변화를 추정할 수 있었다. 제1 모드는 적도 동쪽 및 서태평양에서 동서 방향의 시소(seesaw) 변화를 보였으며, 제2모드는 서태평양 적도 및 그 북쪽의 서태평양 웜풀에서 남북 방향의 시소 변화를 보였다. 제1모드의 특성은 해양 적도 Kelvin파의 이상이며, ENSO의 주요 모드라고 할 수 있다. 제2모드의 특성은 혼합된 Rossby-관성중력파의 이상이며, ENSO의 2차 모드라고 할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5027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EOF analysis,tropical Pacific Ocean,ocean current anomaly,CEOF 분석,열대 태평양,해양 순환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