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Ma, Xiaohua,Ge, Yan,Lu, Ting,Deng, Yun,Ju, Songguang,Zhang, Xueguang |
초록 |
목적: 안정적으로 발현되는 인간 CD133 유전자의 뇌신경교종(glioma) U251 세포주를 구축하고, 또한 CD133이 U251세포의 생물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방법: 인간 CD133의 전체길이 cDNA를 구축한 후, 레트로바이러스(retrovirus) 발현벡터 pEGZ-Term에 형질전환시켜 pEGZ-Term-CD133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뇌신경교종 U251 세포주를 감염시켰다. 유세포분석법(flow cytometry) 및 실시간PCR(Real-time PCR)법으로 감염된 U251 세포 중 CD133분자의 발현을 검사하였다. 세포수 측정법(cell counting) 및 신경구 형성 실험(neurosphere formation analysis)으로 CD133의 과발현이 U251 세포의 생체외 증식 및 신경구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종양 검사법으로 생쥐를 U251세포로 감염시킨 후, 생체내에서 종양형성여부를 검사하였다. 결과: 성공적으로 pEGZ-Term-CD133 레트로바이러스 발현벡터를 구축하였으며, 또한 CD133를 안정하게 발현하는 U251세포를 얻었다. U251-mock, U251 세포에 비하여 U251-CD133 세포에서 CD133 mRNA[(7400.2±5003.4) vs (2.0±1.1), (1.0±2.2), P=0.0007)]와 단백질이 고발현되었다. pEGZ-Term-CD133의 감염은 U251세포의 생체외 증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P gt;0.05), 무혈청 신경구 배지(serum free neurosphere medium)에서 배양하면 U251-CD133 세포가 형성한 신경구 수량은 U251-mock와 U251 세포가 형성한 신경구 수량보다 뚜렷하게 많다[(34.0±7.5) vs (14.6±2.3), (11.5±1.3)개, P lt;0.01]. 접종한 세포수가 1×10 5 개일 때, U251-CD133 세포가 생쥐의 생체내에서 종양형성 시간(32 일)은 U251-mock 세포(38 일)보다 짧고, 또한 종양형성율은 더욱 높으며(100% vs 30%), 41일 후 종양의 크기는 뚜렷하게 증가되었다[(180.3±146.8) vs (4.0±0.0)mm 3 , P=0.003]. 결론: CD133분자는 뇌신경교종 U251세포의 생체외 증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U251세포의 신경구 형성과 종양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