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otective Effects of DJ-1 Against Rotenone Induced Dopaminergic Neuron Injury in the Rat SN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中國生物工程雜誌 = Journal of Chinese biotechnology |
ISSN | 1671-8135, |
ISBN |
저자(한글) | SUI, Lei-ming,GAO, Hua,GU, Li,YANG, Wei-wei,YANG, Hui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목적 : 마우스 중간뇌흑질 도파민성 뉴런이 로테논을 저항하는 과정에서 일으킨 급성손상을 과발현 DJ-1 단백질의 보호여부를 탐구하는 것이다. 기법 : DJ-1 유전자를 발현하는 아데노연관바이러스 벡터(reconstructed into adeno-associated virus ector, rAAV-DJ-1)를 구축하고 HEK-293 세포를 형질주입하여 아데노연관 가상 바이러스 과립 패킹을 한다. 획득한 가상 바이러스 과립을 마우스 뇌의 감염흑질 신경세포에 주사한다. 4주후 로테논을 마우스 흑질과 같은 뇌구역에 주사한다. 면역조직화학법과 웨스턴 블로팅으로 TH(Tyrosine hydroxylase) 단백질 발현정황을 검증한다. 동물행위궤적 분석 소프트웨어(Ethovison software)로 마우스의 30min 운동거리를 계산하고 강박수영실험(Rotenone-induced depression-like behaviors)으로 마우스의 정신증상을 검증한다. 결과 : 대조팀과 비교한 결과 과발현 DJ-1팀 마우스는 운동손상 증상이 적고 정신증상 또한 개선되었다. 손상측 흑질 TH 양성 뉴련수량과 TH 단백질 발현수준 또한 대조팀보다 높다. 결론 : DJ-1 단백질을 과발현 하면 마우스 흑질 도파민성 뉴런이 로테논을 저항하는 데서 일으킨 손상을 보호할 수 있고 도파민성 뉴런의 퇴화를 늦출 수 있다. 이는 DJ-1이 파킨슨병의 치료에 있어서 전망성이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6057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DJ-1,Rotenone,Tyrosine hydroxylase,Parkinson's disease,DJ-1,로테논,티로신 수산화효소,파킨슨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