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creening of Rice OsMADS15 Interacting Proteins by Yeast Two Hybrid System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農業生物技術學報 = Journal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ISSN 1674-796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u, Sunjie,Wang, Huimei,Yang, Ruifang,Zhang, Xiaobo,Tu, Jum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단백질 사이의 상호 작용은 생물학적 기능의 발휘에 대하여 매우 중요하다. MADS-box 유전자의 기능은 주요하게 상동(homo-) 혹은 헤테로다이머 또는 테트라머(hetero-dimer/tetramer) 형성을 통하여 실현한다. 벼 OsMADS15는 한가지 AP1/SQUA아과(subfamily)의 멤버인데 벼 개화기 제어, 부정근 개발, 줄기 생장과 내영 개발 (palea development)등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이와 상호 작용이 있는 단백질은 알고 있는 바와 같이 매우 적다. 본 실험에서는 효모 이중 교잡법으로 벼(Oryza sativa ssp.japonica) cDNA 라이브러리(library)로부터 OsMADS15와 상호 작용하는 단백질을 스크리닝 하였다. pGBKT7-OsMADS15 미끼 발현 벡터를 구축한 다음 pGADT7-cDNA library와 함께 효모(Sac charomyces cerevisiae) AH109에로 변환되었으며 순서대로 HIS3, ADE2와 LacZ 3개 리포트 유전자의 발현을 스크리닝하여 모두 25개의 UniGene(단일유전자)을 얻었다. 담배(Nicotiana benthamiana) 세포에서 BIFC 실험으로 OsMADS15와 후보 유전자 OsMADS1, OsMADS14, OsMADS8 사이의 상호 작용을 검증하였는데 결론적으로 담배세포의 핵에서 OsMADS15와 연결된 nYFP는 OsMADS1, OsMADS14, OsMADS8과 연결된 cYFP와 각각 상호 보완을 형성하여 형광을 생성함을 설명하였고 그 기간 식물 체내에서도 상호 작용이 있음을 증명하였다. 본 실험은 OsMADS15가 벼 꽃 발육과 벼 영양 기관 생장 발육 기능의 향후 개선된 연구를 위하여 기본 자료를 제공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245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Rice,OsMADS15,Yeast two hybrid,cDNA library,BIFC,벼,OsMADS15,효모 이중 교잡,cDNA 라이브러리,BIF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