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 of Bovine GH Genes Mediated by Lentiviral Vectors on Mice Embryonic Development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基因組學與應用生物學 = Genomics and applied biology
ISSN 1674-568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YAN, Xingrong,DING, Xiangbin,GE, Xiuguo,GUO, Hong,ZHANG, Junlin,LI, Yongliang,YANG, Yanh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성장호르몬(growth hormone)은 동물의 성장발육에 필요한 호르몬이다. 본 연구는 소 성장로르몬(bovine growth hormone, bGH)이 생쥐의 배태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를 렌티바이러스 운반체(Lenti-CMV-EF1-eGFP)에 결합시켜 Lenti-CMV-bGH/EF1-eGFP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재조합 바이러스를 293T 세포에 주입한 후, 생쥐의 배태와 G1 배태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s, ESCs)를 감염시켰다. 양성발현(positively infected) 배태를 체외배양하여 낭배기(gastrula stage)까지 발육한 배태에 이식하고, 이것을 직접감염 그룹으로 하였다. 감염된 생쥐의 G1 배태줄기세포를 중국 쿤밍(Kunming) 마우스 낭배에 주사하여 결합 배태를 제조한 후 배태이식을 진행하고, 이것을 결합체 그룹으로 하였다. 임신 15일된 3마리의 직접감염 그룹과 결합 그룹의 생쥐를 해부하여 임신 현황을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1-세포단계에서 감염 배태의 감염효율은 (74.7±6.7)%에 달하고, 2-세포단계에서 계속 감염되었는데, 감염효율은 (79.4±5.7)%에 달하였다. 두 가지 감염방법의 효율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P gt;0.05). 1차와 2차 감염된 배태의 발육은 정상배태와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87.6±3.5)%, (85.4±6.3)%VS(83.0±5.5)%, P gt;0.05]. 모든 이식한 배태는 마지막까지 발육하지 못하였다. 임신 15일된 생쥐를 해부한 결과, 직접감염 그룹은 임신하지 못하였고, 결합 그룹의 태반은 발육이 정상이지만 배태는 일부분 죽거나 흡수되었다. 이는 bGH가 생쥐의 배태에 부착되기 전에는 발육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생쥐의 배태에 부착된 후에는 발육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한다. 본 연구는 향후 bGH 연구를 위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997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ice,Bovine growth hormone,Embryonic development,Transgenesis,Growth hormone,생쥐,소 GH유전자,배태발육,형질전환,성장호르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