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 (KACC)에 보존중인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와 C. acutatum의 재동정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식물병연구 = Research in Plant Disease
ISSN 1598-226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김대호,전영아,고승주,이종규,홍승범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6-01-01
초록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KACC)에 보존되어 있는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39 균주와 C. acutatum 5 균주를 ribosomal DNA-ITS와 $ beta$ -tubulin 부분염기서열과 PDA와 Benomyl-PDA배지에서의 생장 특성에 의하여 재동정 하였다. 그 결과 13 균주가 Talhinhas 등의 C. acutatum A2 그룹으로, 5 균주가 C. acutatum A3 그룹으로, 1 균주가 C. acutatum A4 그룹으로, 18 균주가 Moriwaki 등의 C. gloeosporioides ribosomal DNA group(RG) 4로 2 균주가 C. gioeosporioides RG6로 2 균주가 c. boninense RG5로 2 균주는 C. coccodes RG2 그리고 1 균주는 c. dematium RG12로 재동정되었다. 이들 중에서 한국에서 분리된 31 균주는 12 균주가 C. acutatum A2 그룹으로, 1 균주가 C. acutatum A3 그룹으로, 14 균주가 C. gloeosporioides RG4 로 2 균주가 C. gloeosporioides RG6로 1 균주가 C. boninense RG5로 그리고 1 균주는 C. dematium RG12로 동정되었다. 더불어 C. acutatum/C. gloeosporioides의 분류적인 특징과 국내 주요 기주별 분포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060614077881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olletotrichum acutatum,C. gloeosporioides,KACC,Re-ident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