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ZHENG, Jie-wen,JIA, Yong-gang,LIU, Xiao-lei,LIU, Bao-hua,FU, Teng-fei,ZHANG, Li-ping |
초록 |
현대 황허강 삼각주 퇴적물 임계 전단 응력 공간적 분포 특성 및 그 영향 요소를 연구하고자, 현대 황허강 삼각주 서로 다른 퇴적 지역에서 해안선과 수직인 측정선을 배치하고, 응집력 기기를 이용하여 퇴적물 임계 전단 응력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상응한 측정점에서 퇴적물 물리학 성질과 입도 성분 측정 작업을 추진하였다. 연구 결과, 상부 조간대 갯벌(high tidal flat)의 퇴적물 임계 전단 응력이 가장 높았으며 1.1~4.02Pa 사이에 있었고 퇴적물은 침식이 쉽게 발생하지 않으며, 함수량이 낮고 건조단위 중량이 크고 코스미드(cosmid)와 분말립 함량이 높고 평균 입경이 작으며, 비배수 전단강도가 큰 것은 상부 조간대 갯벌 퇴적물의 임계 전단 응력이 높은 주요 요소이다. 중부조간대 갯벌(mid tidal flat) 퇴적물은 생물 활성의 영향을 뚜렷하게 받으며 임계 전단 응력은 0.10~1.90Pa 사이에 있고, 생물 활성 간섭, 생물 배설 및 유체 유적의 정도와 수는 서로 다른 지역 테스트 차이를 초래하는 중요한 원인이다. 하부조간대 갯벌(low tidal flat) 퇴적물 임계 전단 응력은 매우 낮아 0.08~0.80Pa 사이에 있고 퇴적물은 쉽게 침식작용이 발생하며, 함수량이 높고 건조단위 중량이 낮고 모래와 자갈 함량이 높고 평균 입경이 크고 비배수 전단강도가 작은 것은 그 전형적인 퇴적물 무리학 성질이며, 또 하부조간대 갯벌 퇴적물 임계 전단 응력이 상부조간대 갯벌에 비해 낮은 주요 원인이다. 현대 황허강 삼각주 퇴적물 임계 전단 응력 지역 특성은 북부 퇴적물 임계 전단 응력 수준이 가장 낮아 0.11~0.4Pa 사이에 있고, 동북이 가장 높아 2.8~4.55Pa 사이에 있으며, 남부와 동북부는 중간 수준으로서 각각 0.63~0.84Pa와 0.83~2.99Pa 사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동북부 공간 비균일성 분포는 뚜렷하였으며 입도 성분의 분이는 퇴적물 임계 전단 응력 지역 차이를 초래한 뚜렷한 주요 요소이다. 코스미드 함량이 높은 퇴적 지역의 퇴적물 임계 전단 응력은 모래와 자갈 함량이 높은 퇴적 지역에 비해 높았다. 세계 기타 대형 하구 삼각주와 비교할 때, 현대 황허강 삼각주 퇴적물 임계 전단 응력 수준은 비교적 낮은 편이었으나 비균일 정도는 비교적 높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