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SHAO, Yiruo,XU, Jianxin,XUE, Li,ZHANG, Rou,WU, Caiqiong,LU, Guangchao |
초록 |
붉나무(Rhus chinensis), 듀란타 레팬스(Duranta repens), 툰베르기아 에렉타(Thunbergia erecta)와 칡(Pueraria lobata) 등 4가지 묘목을 실험재료로, 인공 시뮬레이션 조건에서 저온 스트레스 환경(6℃)이 묘목 엽편의 생리생화 및 광합성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 (1) 저온 스트레스의 연장에 따라 듀란타 레팬스 묘목의 엽록소 함량은 먼저 증가하고 후에 감소하였으며 기타 나머지 3가지 묘목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저온 조건을 제거한 후 현저하게 상승하였다. 4가지 묘목의 프롤린(Proline) 함량은 지속적으로 상승 혹은 파동하였다. 칡 묘목의 가용성 단배질 함량은 먼저 증가하고 후에 감소하였으며 나머지 묘목은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저온 조건을 제거한 후 다소 증가하였다. 4가지 묘목의 엽편 가용성당 함량 및 말론디알데히드(malondialdehyde, MDA) 함량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SOD 활성은 지속적으로 상승 혹은 먼저 상승하고 후에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저온 조건을 제거한 후, 붉나무 묘목이 SOD 활성은 조금 상승하였으며 나머지 묘목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2) 저온 스트레스의 연장에 따라, 4가지 묘목의 순광합성속도(P n ), 기공전도도(G s ), 증산속도(T r )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듀란타 레팬스의 세로간 CO 2 농도(C i )는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며 나머지 묘목은 먼저 감소하고 후에 증가하였다. 저온 조건을 제거한 후 4가지 묘목 엽편의 P n , G s , T r 은 서로 다른 정도로 다시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C i 는 서로 다른 정도로 감소하였다. 저온 스트레스와 회복 48시간 기간에 4가지 묘목의 프롤린, 가용성당, 가용성 단백질 함량의 증가와 SOD 활성의 안정 혹은 증가는 묘목 엽편 세포의 막지질과산화 정도를 경감시켰으며 세포막의 완전 안정성을 유지시켰고 저온 스트레스 적응성에 반응하는 묘목의 중요한 조절 메커니즘이기도 하였다. 48시간 회복할 때의 P n , G s 와 T r 은 서로 다른 정도로 다시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C i 는 서로 다른 정도로 감소하였다. 이는 4가지 묘목이 일정한 내한 능력(ability of low temperature resistance)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주성분분석법으로 각각 생리생화학적지표와 광합성 생리지표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얻은 4가지 묘목의 내한성이 칡 gt;붉나무 gt;툰베르기아 에렉타 gt;듀란타 레팬스의 순서로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광석 폐지 생태 복원의 식물 선별에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