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CHEN, Wei,WANG, Chun,YANG, Yin-pu,LONG, Xiao-wen,WANG, Wei,CHENG, Yong-xu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중국 시짱 고원(Tibetan plateau) 조건에서 양식하는 참게(Eriocheir sinensis)의 월동 기간 생화학 성분 및 지방산 조성과 함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 월동 전후, 참게의 간췌장 지수는 뚜렷하게 감소하였고 월동 전의 11.72%로 부터 월동 후의 9.96%로 감소하였다. (2) 월동 후, 간췌장 내 수분 및 간물질 성분 내 총 지질과 단백질의 상대적 함량은 뚜렷하게 감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근육 간물질 내 총 지질과 단백질의 상대적 함량도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하지만 수분의 상대적 함량은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월동 전후, 간췌장과 근육 내의 총당 상대적 함량은 모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3) 지질류 성분에 있어, 월동 후 간췌장과 근육 내의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s, FA)과 인지질(phospholipid, PL)의 상대적 함량은 모두 매우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나 간췌장 내의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 TG) 및 근육 내 인지질의 상대적 함량은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4) 지방산 성분에 있어, 월동 기간 간췌장 내 주요한 포화 지방산(saturated fatty acids, SFA) C16?0, C16?1n7과 단일 불포화지방산(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 C18?1n9 및 C18?2n6은 주요한 에니지 동원 물질로써 모두 10%이상 소모되었다. 근육 내 SFA와 MUFA에 의해 에너지가 동원되는 상황은 간췌장 내의 상황과 유사하였다. 그러나 월동 후 근육 내 다불포화 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내의 C20?5n3(EPA), C22?6n3(DHA)의 상대적 함량은 뚜렷하게 증가한 반면에 근육 내 EPA와 DHA가 차지하는 비율(각각 근육 내 총지질의 23.47%와 12.38%를 차지함)은 비교적 높았으며, 근육 내 총 지질의 소모 상황과 결합하여 보면, 월동 기간에 EPA와 DHA의 절대량은 감소한 것이었다. 이러한 결론으로 부터 비교적 많은 EPA와 DHA가 소모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 월동 기간, 근육 내의 단백질과 간췌장 내의 지질류는 모두 대량적으로 소모되었으며 이는 양식한 참게가 저온과 기아의 이중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것을 설명한다. 결론적으로, 중국 시짱 고원 지역에서 참게의 월동 후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월동 전부터 관련 지질류와 단백질의 영양 강화를 잘 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