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ANG, Di,LIN, Zhao-jin,PENG, Yan-chao,LI, Tuan-jie,MA, Yu |
초록 |
본 논문은 2007년 11월 중국 주장강 삼각주(Pearl River Delta)에서 조사를 진행하여 대형 저서동물(macrobenthos)을 모두 4문 4목 32과 43종 획득하였다. 그 가운데 갑각류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다모류와 연체동물이 많았다. 각 단면(cross-section)의 종구성은 모다오먼(MoDaoMen)에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치오섬(QiAo Island)과 푸톈(FuTian) 홍수림에서 많았으며, 샹저우(XiangZhou) 입구에서 가장 적었다. 우점도 지수 Y gt;0.02를 판단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 주요 우점종은 갑각류의 Gammarus sp., Ampelisca chinensis, Macrophthalmus(Mareotis) japonicus였다. 조사를 진행한 바다 지역 저서생물의 평균 총 밀도와 평균 총 바이오매스는 각각 4,035개/m 2 와 198.56g/m 2 였고, 각 지역 습지 생물의 바이오매스 차이가 비교적 컸다. 저서동물 군집의 Shannon-Wiener 다양성 지수(H')와 균일도 지수(J') 평균값은 각각 1.270와 0.52로서 낮은 수준이었다. SPSS 소프트웨어로 각 지역 대형 저서동물의 종류수, 밀도, 바이오매스, 다양성 지수, 균일도 지수 등 생태 특성값과 물깊이 등 수리학적 요소에 대하여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진행한 결과, 다모류 밀도와 일부분 환경 요소의 상관성은 비교적 좋았다. 그 가운데 총 Cr%, 실트(silt) 함량, 점토(clay) 함량 및 평균 입자 크기는 0.01 수준인 것으로서 뚜렷한 부(-)적 상관관계였고, pH와 K%는 0.05 수준인 것으로서 뚜렷한 정(+)적 상관관계였으며, Cu%, Zn%와 As%는 0.05 수준인 것으로서 뚜렷한 부(-)적 상관관계였다. 연체동물의 밀도는 모래 함량과 뚜렷한 정(+)적 상관관계였고(P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또한 풍부도/바이오매스 비교법을 이용하여 주장강 삼각주의 전형적인 연안 습지 저서동물 군집 구조 상태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