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현재 홍수림(mangrove forest) 내 생물 침입의 연구 현황을 파악하고자, ISI Web of Science 데이터베이스와 Hist Cite 문헌 분석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전면적이고 체계적인 문한 검색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중국 내외 홍수림 중 생물 침입과 관련되는 연구 문헌은 대부분 식물 침입에만 중점을 두었으며, 동물과 미생물에 관한 연구는 아주 적었다. 연구지역으로, 중국 남부와 동남부 연안[특히 주장강(Pearl River) 어귀, 레이저우 반도(Leizhou Peninsula) 서쪽], 미국 동남부 연안 및 하와이 군도 등이 선정되었다. Sonneratia apetala의 침입 여부는 줄곧 논쟁이 되고 있는 주제로, 더 구체적인 논증이 필요하며 조심스럽게 다루어야 한다. Spartina alterniflora과 Mikania micrantha은 세계에서 소문난 침입종으로, 생장 속도가 빠르고 번식력이 강하며 경쟁과 타감작용이 뚜렷하다. 양자는 이미 홍수림 생태계에 대량 침입하여 홍수림의 미소서식지 질을 뚜렷하게 떨어뜨렸으며, 저서생물의 군락 구조를 변화시켰다. 외래 홍수림 식물 Rhizophora mangle은 하와이 군도에 침입하여 퇴적 조건을 개선하고 저서생물의 군락을 풍부히 하였다. 그러나 세계 규모에서의 침입 결과를 더 한층 고찰할 필요가 있다. 현재 홍수림 내 생물 침입의 연구는 시작단계에 있으며, 목표 지향성 연구는 침입이 홍수림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만 제한되었다. 그러므로 관련 침입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기존의 방제기법은 대부분 기타 침입 시스템의 방제기법에만 기반하였다. 향후 홍수림 내 생물 침입 연구는 침입 현황과 침입 효과의 탐색과 평가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침입 메커니즘과 방제기법의 연구 응용 및 생태계 서비스에 대한 영향 평가를 가속화할 필요가 있다. 홍수림 내 생물 침입의 관리 체계를 완벽히 하는 것은 실제 홍수림 내 생물 침입을 방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