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XIAO, Xin-huan,HUANG, Ning,ZHANG, Yu-ye,YANG, Zong-feng,LING, Hui,HUANG, Long,SU, Wei-hua,QUE, You-xiong |
초록 |
광합성계Ⅰ 서브유닛 O(Photosystem Ⅰ subunit O, PsaO)는 광합성계Ⅰ 중의 단백질 서브유닛이며, 2개 광합성계 사이의 여기에너지 균형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saO 유전자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하고자, 사탕수수(Saccharum officinarum L.) 엽편 전체길이 cDNA 라이브러리를 시퀀싱하였으며, 광합성계Ⅰ서브유닛 O유전자의 전체길이 cDNA 서열을 얻었고, ScPsaO(GenBank Accession Number:KF714498)로 명명하였다. 생물정보학 분석 결과, 해당 유전자 전체길이는 708 bp, 개방해독틀은 435 bp이며, 144개 아미노산을 코딩한다. 해당 유전자가 코딩한 단백질은 엽록체 기질에 위치하였으며, 신호 펩타이드가 없고, 소수성 비분비 알칼리성 단백질이며 2차구조는 대부분 불규칙 코일이다. 또한, PJN00046 패밀리의 보존 도메인을 함유하였으며, 에너지 신진대사 및 지방산 신진대사 과정에 참여한다. 동시에 해당 유전자는 서로 다른 종 사이에서 비교적 강한 보수성을 갖고 있으며, 그중 같은 속 C 4 식물과의 상동성은 C 3 식물과의 상동성보다 높았다. 형광 정량 PCR 분석 결과, 사탕수수 ScPsaO 유전자는 엽편에서의 발현량이 가장 높았으며, 일정한 조직 특이성을 갖고 있었다. 염화나트륨(NaCl),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염화구리(CuCl 2 ), 아브시스산(abscisic acid, ABA), 살리실산(salicylic acid, SA)과 메틸 자스모네이트(methyl jasmonate, MeJA) 등 외인성 스트레스 조건에서 그 발현량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PEG 스트레스에서의 하향조절이 가장 뚜렷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여러 가지 외인성 스트레스는 사탕수수 ScPsaO 유전자의 전사 수준 발현을 억제할 수 있으며, 심층적인 기능 검증과 사탕수수 유전자 공학에서 응용에 기초적 자료를 축적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