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nfluence of ocean warming on the community structure and photosynthetic efficiency of phytoplankton in Daya Bay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熱帶海洋學報 = Journal of tropical oceanography
ISSN 1009-547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XIE, Yan-hui,LI, Tao,JIAN, Wei-jun,HU, Si-min,TIAN, Yuan,LIU, She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다야만(Daya Bay) 핵 발전소에서 배출된 온배수는 일부 구역 해수 온도가 뚜렷이 높아지게 하였으며 해당 구역 식물성 플랑크톤의 군집 구조도 뚜렷이 개변시켰다 . 해수 온도 상승이 식물성 플랑크톤의 군집 구조 및 광합성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2013년 여름철 다야만 핵발전소 온배수 구역의 식물성 플랑크톤을 채집하여 실내 온도 상승 스트레스와 회복 배양을 진행하였으며 매일 군집 구조와 서로 다른 입도(grain-size)(소형, 미세형, 초미세형)의 식물성 플랑크톤의 광합성 활성 변화를 관측하였다. 연구 결과, 온도 상승 실험에서 3개 처리 그룹이 배양 전기에는 모두 규조류가 우세를 차지하였으며 배양 후기에는 남조류[녹스톡(Nostoc sp.) 혹은 Microcystis sp.]가 우세를 차지하였다. 고온 처리그룹(35℃와 33℃)은 첫 2일에 식물성 플랑크톤의 바이오매스가 지속적을 증가하였으며 최대 광양자 생산량은 정상상태를 유지하였다. 그 후부터 줄어들기 시작하였으며 35℃에서 감소폭이 33℃에서보다 높았다. 배양 과정에서 소형과 미세형 식물성 플랑크톤의 바이오매스와 광합성 활성은 모두 초미세형보다 높았다. 29℃ 대조그룹에서 서로 다른 입도의 식물성 플랑크톤의 바이오매스와 광합성 활성은 실험 전과 차이가 크지 않았다. 회복 실험 결과, 고온 스트레스를 받았으나 배수구의 소형과 미세형 식물성 플랑크톤은 정상 온도(29℃)와 비교적 낮은 온도(25℃)에서 모두 정상적인 광합성 수준으로 회복하였으며 초미세 식물성 플랑크톤의 회복 활성이 비교적 낮았다. 종합하면, 35℃와 33℃ 모두 식물성 플랑크톤에 고온 스트레스를 줄 수 있으며 35℃의 스테레스를 받을 때 효과가 더욱 심각하였다. 소형과 미세형 식물성 플랑크톤의 내성 및 관련 손상 회복 능력이 초미세형보다 높았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다야만 핵발전소 온배수구에서 단기 고온 자극을 받은 식물성 플랑크톤의 광합성 손상은 고온 구역을 벗어난 후 회복될 수 있으며 해당 과정은 식물성 플랑크톤의 신속한 생장을 촉진할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381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Daya Bay,discharge from nuclear power plant,phytoplankton,community structure,photosynthetic efficiency,다야만,핵발전소 온배수,식물성 플랑크톤,군집 구조,광합성 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