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OVERY OF FISH MICROREMAINS IN THE GUFENG FORMATION AT THE LUOJIABA SECTION FROM JIANSHI, WEST HUBEI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微體古生物學報 = Acta micropalaeontologica Sinica |
ISSN | 1000-0674, |
ISBN |
저자(한글) | MAO, Yu,MA, Qiang-fen,FENG, Qing-lai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후베이성(Hubei province) 언스(Enshi)의 젠스(Jianshi) 지역의 구펑층(Gufeng Formation)의 방산충과 코노돈트(conodonts)에 대한 연구 과정에서 풍부한 어류 미화석을 발견하였다. 그중의 일부 화석에 대한 초보적인 감별을 진행하였다. 연골어강과 경골어강 어류 미화석을 동시에 발견하였다. 기타 산지의 동시기 어류 미화석과 비교한 결과, 특징이 뚜렷한바, 층위가 집중되고, 다양성이 높으며, 풍도가 크고, 개체가 전반적으로 비교적 작다. 상기 연구 지역은 고대 적도 지역의 동부 테티스해(Tethys Sea)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기후가 온난하고, 용승이 발달하였으며, 해수의 산소가 부족하다. 따라서, 심수(deep-water) 흑색 퇴적층인 구펑층을 형성하였다. 기존에 보도된 기타 이첩기 어류 미화석의 산지는 상술한 독특한 해양환경이 아니다. 또한, 기타 화난(south china) 지역의 구펑층 암석층에서도 상술한 유형의 화석에 대한 보고가 없었다. 따라서, 환경이 담수 어류의 생명활동에 미치는 영향 규칙을 결부하여, 그 시기의 어류와 환경에 대한 토론을 전개함으로써 중기 이첩기 젠스 지역의 고대 지리, 고대 기후 및 고대 환경을 간접적으로 반영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6586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fish microremains,fish scale,fish teeth,upwelling,anoxic,the Gufeng Formation,Middle Permian,west Hubei Province,어류 미화석,어류 비늘,어류 이빨,용승,저산소 환경,구펑층,중기 이첩기,후베이성 서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