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Crotonaldehyde on the Protein Expression of Rice Suspension Cell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技術通報 = Biotechnology bulletin
ISSN 1002-546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U, Yue-ping,GUO, Bei,HU, Hao,ZHANG, Guo-q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은 크로톤알데히드(crotonaldehyde)로 벼의 현탁배양 세포(rice suspension cells)를 처리한 후 단백질 수준의 변화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벼 세포의 주기 활동에 대하여 중요한 작용을 하는 단백질을 발견하였다. 2차원 전기영동법(two dimensional electrophoresis)으로 단백질을 분리한 다음 PDQuest 소프트웨어로 겔 전기영동 패턴(gel electrophoresis pattern)을 분석하여 차이성 단백질 위치(different protein spots)를 확정하였으며, LCQ-Fleet ion trap 시스템으로 단백질을 검정하였고, 관련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것을 통하여 차이성 단백질 위치를 분석하였다. 모두 45개 차이성 단백질 위치를 획득한 후 스펙트럼 검증 및 데이테베이스 분석을 통하여 26개의 신뢰성이 있는 단백질을 획득하였다. 해당 단백질은 스트레스 반응, 단백질 생명 활동, 신호 전달, 물질과 에너지 대사 및 막 기능(membrane function) 등 과정에 참여하였다. 해당 단백질 가운데서 작은 분자량 열 충격 단백질(heat shock protein), Skp1 단백질과 26S 프로테아제(protease), CDC48, 글루코사민-6-인산아세틸기전달효소(glucosamine-6-phosphate acetyltransferase) 및 자당 합성 효소(sucrose synthase) 등 단백질의 식물 세포 주기 조절 과정에 대한 작용을 이미 문헌에서 보고하였다. 그리고 기타 일부분의 세포 생리 활동에 참여하는 단백질을 검증하였는데 해당 단백질과 세포 주기 사이의 관련성은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하여야 확정할 수 있다. 크로톤알데히드 처리는 벼 현탁배양 세포의 정상적인 세포주기 활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검증한 일부분 단백질은 세포 주기에 대한 조절 작용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다. 그리고 일부분 벼 세포의 분화, 발육과 관련된 단백질도 검출하였지만 해당 단백질의 세포 주기에 대한 작용에 관한 문헌 보고는 없다. 상술한 단백질에 대한 심층적 연구는 벼 세포 주기 조절 메커니즘을 규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195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rotonaldehyde,Rice suspension cells,Different proteomics,Cell cycle,크로톤알데히드,벼 현탁배양 세포,차이성 단백질체,세포 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