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생물막 연구(biomembrane research)는 현대 생물학 연구의 첨단 분야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문화대혁명 이후, 중국과학원 생물물리연구소(이하 생물물리소) 생물막 연구의 시작과 발전을 체계적으로 회고하였다. 문화대혁명 이후, 중국 외 생물막 연구의 빠른 발전을 감지한 중국과학원 지도그룹은 생물물리소 양푸위(YANG Fu-Yu)를 대표로 하고 생물화학연구소, 동물연구소, 식물연구소, 상하이실험생물연구소의 6명을 포함한 대표단을 구성하여 서독에 고찰을 보냈다. 고찰 후, 중국과학원 지도그룹은 생물막 연구에서 다학문간 융합(multidisciplinary integration)의 중요성을 인식하였고 생물물리소, 식물소, 중국의학과학원, 베이징의과대학교 등 기관을 연합하여 국가자연과학기금위원회에 '막지질-막단백질 상호작용 및 의학과 농업에서의 응용'이라는 중대 프로젝트를 신청하여 승인을 받았다. 이와 동시에 중국과학원 지도그룹은 중국생물물리학협회, 중국생화학협회, 중국세포생물학협회 주최의 생물막 학술토론회를 조직할 것을 제안하였다. 1979년 3월에 베이징 유이호텔(Friendship Hotel)에서 첫 회의가 소집된 후, 3년 간격으로 1회 개최되었고 이는 생물막 연구의 교류와 발전을 힘있게 촉진하였다. 2003년에 개최된 제200회 샹산(Xiangshan)회의는 21세기 중국의 생물막 연구를 발표하였고 이는 생물막 연구의 발전을 한 단계 더 촉진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생물막 연구에서 거둔 중국과학원 생물물리연구소의 대표적 성과를 중점적으로 설명하였다. 1) 막지질-막단백질의 상호작용을 통한 금속 이온의 생물막 에너지 전환 조절, 물질 운반 및 신호 전달의 분자 메커니즘 조절. 2) '케샨병(Keshan disease)은 심근 미토콘드리아 질병이다'는 중요 관점 제출. 3) 소화효소로 알려진 키모트립신(chymotrypsin)의 리소좀 내 극소량 발견과 리소좀막을 통해 방출된 후 세포 사멸에 관여하는 작용 메커니즘 설명. 4) 미토콘드리아의 동적 변화를 조절함으로써 종양 세포의 전이 침습을 간섭하는 새로운 타겟 확정. 마지막으로 특별히 언급하자면, 창원루이(CHANG Wen-Rui)와 식물연구소 쾅팅윈(KUANG Ting-Yun) 등은 2004년에 '시금치 내 주요 집광색소 복합체(light-harvesting complex) 2.72 ? 해상도의 결정체 구조 분석'이란 연구 논문을 'Nature' 저널에 발표하였고 라오쯔허(RAO Zi-He)와 쉬젠싱(XU Jian-Xing) 등은 2005년에 '돼지 심장 미토콘드리아 호흡사슬복합체(mitochondrial respiratory chain complex) Ⅱ의 결정체 구조'란 연구 논문을 'Cell' 저널에 발표하였는데 이는 생물막 연구에서 중국의 국제적 입지를 충분히 설명한다. 2004년에 쉬타오(XU Tao) 연구원는 소포 수송 분야에서 쌓은 학술 성과로 인해 수석과학자로 발탁되었고 생물막 전문가들을 이끌고 중국 최초 생물막 973 프로젝트를 맡았다. 이는 중국의 생물막 연구는 발전의 새로운 시기에 진입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