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YE, Zi-piao,HU, Wen-hai,XIAO, Yi-an,FAN, Da-yong,YIN, Jian-hua,DUAN, Shi-hua,YAN, Xiao-hong,HE, Li,ZHANG, Si-si |
초록 |
광합성 전자흐름의 광반응 메커니즘은 식물의 광합성 전자흐름과 빛세기, 식물 내 집광성 색소(light-harvesting pigment) 분자의 물리학적 특성 사이의 관계를 제시할 수 있다. 해당 연구는 광합성 전자흐름의 광반응을 반영할 수 있는 메커니즘 모델의 특성 및 집광성 색소 분자의 물리학적 성질을 연구하였으며, 해당 모델을 이용하여 Lagedium sibiricum, 개망초(Erigeron annuus), 개미취(Aster tataricus) 내 광합성 전자흐름의 광반응 곡선을 조절하였다. 해당 모델을 통하여 식물의 최대 광합성 전자흐름, 포화광 강도, 초기 경사도 등 파라미터를 얻을 수 있었으며, 또 집광성 색소 분자의 유효 광에너지 흡수 단면적(effective light absorption cross-section)과 최저 여기상태(excitation state)에서의 집광성 색소 분자 수의 빛에 대한 반응관계를 얻을 수 있었다. 연구 결과, 빛세기가 증가할수록 Lagedium sibiricum 내 집광성 색소 분자의 유효 광에너지 흡수 단면적의 감소 속도가 가장 빨랐으며, 개미취의 감소 속도가 가장 느렸다. Lagedium sibiricum 내 최저 여기상태에서의 집광성 색소 분자 수의 증가 속도가 가장 빨랐으며, 개미취의 증가 속도가 가장 느렸다. 집광성 색소 분자의 유효 광에너지 흡수 단면적은 빛세기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최저 여기상태에서 빛세기가 증가할수록 집광성 색소 분자의 수가 증가되는 현상은 광에너지의 흡수와 엑시톤(exciton)의 전달을 저감시켰는데, 이는 높은 빛세기에 의한 식물의 광손상을 저감하는데 유리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