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On utilization of two edible macro-jellyfish and evaluation of the biomass of Nemopilema nomurai in China Se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漁業 = Marine fisheries
ISSN 1004-249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 Jian-sheng,LING, Jian-zhong,CHENG, Jia-hua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은 어업통계 데이터와 어업자원검측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파리(Rhopilema esculentum)와 노무라입깃 해파리(Nemopilema nomurai) 두 가지 대형 식용해파리의 이용 상황에 대해 분석하고 노무라입깃해파리의 연간 수량변화추세에 대해 연구 및 평가하였다. 그 결과, 20세기 80년대 중반과 90년대 말은 해파리의 산량절정기였고 1998년에 43×10 4 t으로 최고치에 도달하였다. 21세기 이후 지속적 하락추세를 나타내면서 최근 연간의 생산량은 약 20×10 4 t 정도였다. 최근 노무라입깃 해파리의 지속적인 급증과 더불어 해당 종류의 해파리도 주요한 식용해파리로 되었다. 최근 5년간의 모니터링 결과, 노무라입깃 해파리의 연간어획량의 변동범위는 (11.03~55.22)×10 4 t이고 연평균 생산량은 28.63×10 4 t으로 지속적 증가태세를 나타내고 있다. 동중국해 구역의 연간 생산량은 10×10 4 t 좌우로 유지하고 있다. 황하이 및 보하이의 연간 생산량은 지속적인 증가로 하여 2013년에는 40×10 4 t 이상에 도달하였다. 평가결과에 따르면 2013년 중국해역 노무라입깃 해파리의 자원량은 266.75×10 4 t이다. 현재 대형 식용해파리의 이용 주체는 해파리로부터 노무라입깃 해파리로 전환되었다. 노무라입깃해파리의 이용수준은 자원량의 1/5 좌우이며 더 큰 개발 이용의 잠재력이 있다. 해파리 자원량의 저하와 노무라입깃 해파리 자원량이 비교적 큰 현실에 대비하여 앞으로 해파리의 증식 및 방류를 강화하고 노무라입깃 해파리의 조업 강도를 높이며 식용해파리의 자원 모니터링 작업을 지속해서 강화하여야 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217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edible macro-jellyfish,utilization,Nemopilema nomurai,biomass,evaluation,대형 식용해파리,이용,노무라입깃 해파리(Nemopilema nomurai),자원량,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