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U, Xiu-ze,DONG, Jing,YU, Xu-guang,SUN, Ming,WANG, Bin,WANG, Xiao-lin |
초록 |
2006년 여름철(7~8월), 겨울철(11 ~12월)과 2007년 봄철(4월), 가을철((10월) 등 4차례의 저층 트로올(bottom trawl) 조사 자료에 근거하여 랴오닝성 연안 해역(coastal waters) 어업 자원 구조(resource structure)에 대해 초보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랴오닝성(Liaoning Province) 연안 해역에서 저서 어류(demersal fish) 52종, 중상층 어류(pelagic fishes) 8종, 갑각류(Crustaceans) 33종, 두족류(Cephalopod) 8종 등 모두 101가지 종류의 어업 생물을 발견하였다. 랴오둥만(Liaodong Bay) 연안 해역과 황해 북부(northern Yellow Sea) 연안 해역의 어업 종류 구성의 유사성(species similarity)이 비교적 높으며 전반적으로 JACCARD 유사성 계수는 50% 이상이다. 우점종(dominant species) 분석 결과, 랴오닝성 연안 해역에서 계절에 의한 우점종 교체가 뚜렷하다. 갯가재(Oratosguilla oratoria)는 랴오둥만 연안 해역의 4계절 중복종(overlapping species)이고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는 황해 북부 연안 해역의 4계절 중복종이다. 여름철을 제외한 기타 계절의 어획물은 주로 저서 어류와 갑각류이고 계절 변화에 따른 어획량은 여름철에 가장 높다. 계절 변화에 따른 군락 다양성 지수(D、H'、J')는 모두 가을철에 가장 높다. 이력 데이터(historical data)와 비교하면 랴오닝성 연안 해역 어업 생물 종류의 변화는 뚜렷하지 않지만 반지(Setipinna taty), 전어(Konosirus punctatus), 삼치(Scomberomorus niphonius) 등 중상층 어류는 군락에서의 우위(dominant position)가 감소하고 쉬쉬망둑(Chaeturichthys stigmatias), 쥐노래미, 갯가재, 긴발딱총새우(Alpheus japonicus) 등 로컬 자원(local resource)이 주요 어업 생물로 되었다. 두 바다 구역 연안 해역의 2006~2007년 각 계절 어업 생물 평균 체질량은 40g보다 작고 각 계절의 교체 지수는 모두 80 이상이다. 다양성 지수, 계절 교체 지수(alternation index)와 천이 지수(migration index)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랴오닝성 연안 해역 어업 생물 군락의 다양성 수준과 군락 안정성이 비교적 낮다. 평균 체질량의 결과에 따르면 어업 생물 군락은 주로 소형 개체와 대형 개체의 저연령층 개체군으로 구성되고 이력 데이터와 비교하면 소형화의 특성이 뚜렷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