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N, Li-xia,QU, Ying,XU, Yang,LIN, Yu-ling,LAI, Zhong-xiong |
초록 |
용안(Dimocarpus longan Lour.)의 느슨한 유형 유합조직을 재료로 이용하고 RT-PCR과 RACE 기술을 사용하여 옥신 반응 인자(auxin response factor) ARF5a cDNA의 전체 서열을 얻었다. 그리고 실시간 형광 정량법을 이용하여 용안 체세포 배아의 서로 다른 발육 단계에서 해당 서열의 전사수준을 검출하고, 해당 서열을 녹색 형광 단백질(GFP)과 결합해 아세포 위치 결정(subcellular localization) 벡터를 구축하고 양파의 표피 세포를 감염시켰다. 실험 결과 : 용안 ARF5a (명명: DlARF5a, GenBank 등록번호: KF739401)의 cDNA 서열 전체 길이가 3,322bp였는데, 그 중에서 개방형 해독틀 길이가 2,829bp이고 5′ 비코딩 구역의 길이가 212bp, 3′ 비코딩 구역의 길이가 258bp이며 942개 아미노산을 코딩한다. 생물정보학 예측 결과, DlARF5a 코딩 단백질은 B3, Auxin-resp와 AUX-IAA 보수구역 및 구조 도메인을 함유하고 있고 중간 구역에 글리신, 세린과 류신(leucine)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세포질에서 위치를 결정하고 전사활성을 촉진하는 기능이 있는 수용성 단백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계통수(Phylogenetic tree) 분석 결과, 해당 유전자가 코딩한 아미노산 서열은 대두(Soybean)와 가장 가까운 유전적 관계가 있었다. qRT-PCR 검측 결과, DlARF5a는 용안의 구형 배아와 어뢰형(torpedo) 배아 단계에서는 발현량이 뚜렷하게 강화하였지만, 6개 발육 단계 중의 자엽형 배아 단계에서는 발현량이 가장 낮았다. 해당 결과에서 우리는 DlARF5a이 용안의 체세포배아단계 중의 어뢰형 배아단계에서 형태 형성 과정에 참여한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공초점 현미경 관찰 결과, 외인성 옥신 IAA를 첨가하지 않은 DlARF5a 단백질은 세포질에서 위치를 결정했지만, 외인성 옥신으로 처리한 DlARF5a 단백질은 세포막, 세포질과 세포핵에서 모두 발현된 것을 발견하였다. 해당 결과에서 우리는 용안의 옥신 반응 단백질 DlARF5a이 외인성 옥신 IAA에 응답함으로써 세포 내에서의 공간적 위치를 변화시킨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