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CHEN, Qing,JIANG, Lei-yu,WANG, Yan,ZHANG, Yun-ting,WANG, Xiao-rong,TANG, Hao-ru |
초록 |
글리코실화 수식은 식물 소분자 화합물의 다양성을 유지하는데 대해 중요한 작용을 한다. 글리코실전달효소는 해당 반응 발생에서 촉매작용을 하는 주체이나, 그 기저물 수용체와 공여체 특이 식별 메커니즘은 아직 확실하지 않다. 본 연구는 블랙베리(Rubus spp.) 재료로부터 하나의 글리코실전달효소 전체길이 코딩 유전자를 얻었으며, 국제적인 글리코실전달효소 명명 위원회에 제안하였고 UGT78H2(GenBank 등록번호: KM061379)로 명명하였다. 해당 유전자 코딩영역의 전체길이는 1,380 bp이며 총 459개 아미노산을 코딩한다. 코딩 단백질의 예측 분자량은 50.6 kD, 등전점은 5.88이다. 생물정보학 분석 결과, 해당 효소는 식물 글리코실전달효소 슈퍼패밀리 I 성원이 갖고 있는 식물 2차대사산물의 글리코실전달효소 보존영역을 갖고 있다. 계통발육수 분석결과, UGT78H2는 애기장대 글리코실전달효소 F 개체군에 속하였으며,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글리코실화 반응에 참여할 수 있다. 아미노산 수준은 월계화 Rh UF3GT1(UGT78H1)과 가장 유사하였으며 88%의 일치성을 나타냈다. UGT78H2는 블랙베리 유과기에서 발현량이 가장 높았고, 과실이 성숙됨에 따라 발현량은 급속히 감소하였다. Medicago truncatula UGT78G1(PDB:3HBF) 단백질 결정체 구조를 템플릿으로 하여, UGT78H2의 구조를 상동성 모델링하였으며, 그 감정한 수용체 촉매활성중심과 일반 11가지 플라보노이드 소분자에 대해 분자 도킹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UGT78H2가 촉매화할 수 있는 가장 가능한 3가지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순서대로 퀘르세틴(quercetin), 탄게리틴(tangeritin), 에피카테킨(epicatechin)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