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N-Terminal Structure Characteristic, Prokaryotic Expression Determination of Envelope Protein VP110 of Prawn's White Spot Syndrome Viru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微生物學雜志 = Journal of Microbiology
ISSN 1005-702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TAN, Bing,YAO, Qian-hui,PAN, Ying-jie,WANG, Yong-jie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VP110는 새우 백점병 바이러스(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의 외막 단백질이다. 유사성 분석 결과, VP110는 곤충 DNA 바이러스의 주요 경구 감염 인자(oral infection factor) PIF2와 상동성이 있었으며, 또한 상동성 영역은 주로 N 말단의 150~600aa에 위치하였다. 상술한 2종 바이러스는 N 말단의 앞부분에 1개의 막관통 영역(transmembrane domain)을 포함하고 있었다. VP110의 N말단 보존 영역 기능을 연구하기 위해 VP110의N 말단 유전자(Svp110, 450~1,830 bp)를 pET-16b 및 pGEX-4T1 원핵 발현(prokaryotic expression) 벡터에 클론하였으며, 동시에 대장균 BL21(DE3), Rosetta2 균주에서 발현 조건을 최적화하여 VP110의 N 말단 단백질(sVP110) 발현을 유도하였다. 실험 결과, 재조합 플라스미드 pET-16b-Svp110는 37℃, 1mmol/L IPTG 조건에서 발현되었지만 16℃에서 발현량이 아주 낮았다. 그러나 재조합 플라스미드 pGEX-4T1-Svp110는 16℃에서 고발현하였다. Rosetta2 균주의 발현량은 BL21(DE3)에 비하여 높았다. 연구 결과, Rosetta2 균주를 WSSV 구조 단백질의 발현에 이용하는 것이 더욱 적합하였고, VP110이 서로 다른 벡터에서 발현은 온도가 미치는 영향을 받았다. VP110의 N 말단 단백질 발현은 VP110의 기능을 연구하는데 기초를 마련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313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white spot syndrome virus,VP110,prokaryotic expression,새우 백점병 바이러스,VP110,원핵 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