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CHEN, Ying,LIU, Shi-liang,YANG, Rong-jie,ZHANG, Si-xun,LUO, Cheng-de |
초록 |
모의 카드뮴(Cd) 오염 토양 배양법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농도의 Cd(0, 10, 20, 40, 80, 160 mg kg -1 ) 처리를 할때 Cd가 많이 축적된 식물 까마중(Solanum nigrum) 유묘의 영양원소 질소(N), 인(P), 칼륨(K) 흡수 및 원형질막 ATP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Cd 처리 농도≤40 mg kg -1 일 때 까마중 유묘의 생장(잎 형질, 주요 뿌리 길이, 식물체 높이와 기부 직경 조도) 및 바이오매스 축적과 분배를 뚜렷하게 촉진하였다. Cd 처리 농도 gt;40 mg kg -1 일 때 뚜렷한 억제작용이 나타났다. Cd 처리 농도가 10 mg kg -1 일 때, 유묘 엽편 엽록소(Chl.a, Chl.b, Chl.[a+b]) 함량은 뚜렷하게 향상하여 최고값에 도달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스트레스 정도의 증가에 따라 먼저 증가하고 후에 감소하였다. 스트레스 정도의 증가에 따라, 유묘 뿌리, 줄기, 잎과 과실 주의 N, P와 K 함량은 먼저 증가하고 후에 감소하였다(줄기 P가 감소된 것을 제외한 외). 식물체 조직 중의 Cd 축적량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잎 gt;줄기 gt;뿌리 gt;과실의 순서로 분포되었다. 동시에 말론디알데히드(MDA) 함량과 카탈라아제(CAT) 및 과산화물 제거효소(SOD) 활성은 Cd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페록시다아제(POD) 활성은 먼저 증가하고 후에 감소하였다. 스트레스 정도의 증가에 따라 유묘 지상(줄기와 잎)과 지하(뿌리)부 H + -ATP 및 지하부 Ca 2+ -ATP 효소 활성은 끊임없이 감소하였으며, 지상부 Ca 2+ -ATP 효소 활성은 먼저 증가하고 후에 감소하였다. 따라서 까마중은 고농도 Cd 스트레스(≥40 mg kg -1 ) 조건에서, Cd 이온에 대한 뿌리의 흡수와 수송을 가속화하여 항산화효소(CAT와 SOD) 활성을 향상시키고, POD와 원형질막 ATP 효소 활성을 감소시키며, N, P, K에 대한 수요를 조절할 수 있고, 이로써 Cd 스트레스에 대해 해독 작용을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