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GLUCOSE AND SALINITY ON ARTEMIA GROWTH, BIOFLOC FORMATION, AND MICROBIAL DIVERSITY IN CULTUR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與湖沼 = Oceanologia et limnologia Sinica
ISSN 0029-814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NG, Jiao,MA, Guan-nan,DENG, Yuan-gao,SUI, Li-y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물을 바꾸지 않은 아르테미아 양식 시스템 내에서, 포도당 및 염도가 아르테미아 Artemia franciscana의 성장, 간수 내 바이오플락의 형성, 수질 및 그 미생물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실험에서는 4개 그룹을 설치하였고 각 그룹마다 3개 그룹을 병행시켰다. 그리고 염도가 각각 50, 100 및 150인 양식수에 포도당(첨가량은 아르테미아의 성장에 따라 매일 12mg/L에서 37mg/L로 증가)을 첨가하였으며, 또한 대조군은 염도가 50에 포도당을 첨가하지 않았다. 그 외, 단일 개체 양식수는 1L로, 아르테미아의 초기 밀도는 약 1 200ind/L로, 농축한 Dunaliella viridis를 먹이로 하고, 양식 주기는 20일로 하였다. 그 결과, 포도당 첨가는 바이오플락의 크기를 증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양식수의 암모늄염, 아질산염, 질산염 및 총질소 수준을 감소시켰으며 또한 아르테미아의 총 생물량을 증가시켰다(P 하지만 염도의 증가에 따라 아르테미아의 생물량은 뚜렷하게 감소하였고(P 그 외, 포도당 첨가 및 염도는 아르테미아의 조단백질 및 지방산 함량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 gt;0.05). PCR-DGGE 분석 결과, γ-프로테오박테륨강(γ-proteobacterium)은 바이오플락에서 우점군집이었으며 또한 해양 세균이 위주였다. 대조군에 비하여, 포도당의 첨가 및 염도의 증가는 군집 풍부도 지수를 뚜렷하게 감소시켰을 뿐만 아니라(P 본 연구 결과는 고염 환경 조건에 따르는 바이오플락 형성 메커니즘을 밝혀내고, 이를 아르테미아의 인공 양식에 이용하는데 참고가 될 것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69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rtemia culture,carbon source,salinity,bioflocs,Artemia culture,microbial diversity,아르테미아 양식,탄소원,염도,바이오플락,세균 다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