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LEOGENE DEPOSITIONAL SYSTEMS IN THE QIKOU SAG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海洋地質前沿 = Marine geology frontiers |
ISSN | 1009-2722, |
ISBN |
저자(한글) |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치커우 새그(Qikou Sag) 지진 단면의 부정합 특성(Characteristics of unconformity) 등에 근거하여 고제3기(Paleogene)를 3개의 2차 층서로 나누었다. 사허제(Shahejie) 제3구간의 세번째 소구간으로부터 두번째 소구간 사이 층서: 치커우 새그의 강한 단층(faulting) 시기에 호분(lake basin)이 확장되고 기후가 습윤하였으며 세미 심층 호수-심층 호수 이암(mudstone)이 보편적으로 발육하였다. 사허제 제3구간의 첫번째 소구간으로부터 사허제 제1구간의 중간 구간 사이 층서: 사허제 제1구간 기질이 높아지고 지층이 삭박(Denudation) 되었다. 사허제 제2구간의 형성시기에 단층이 약해지고 호수 물이 줄고 퇴적 범위가 줄었으며 사허제 제1구간의 중, 하층 소구간의 퇴적 범위는 한층 더 확대되었는데 해당 시기는 중요한 퇴적 시기이다. 사허제 제1구간 상층 소구간으로부터 둥잉층(Dongying Formation) 사이 층서: 사허제 제1구간의 중, 하층 속구간의 지층 퇴적을 이어 받은 후 둥잉층의 초기 퇴적 시기는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며 대체적으로 비교적 약하게 침강되고 말기에는 기질이 대체적으로 높아지고 삭박되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50318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Qikou Sag of Dagang oilfield,Paleogene,depositional system,치커우 새그,고제3기,퇴적 시스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