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이고리 원정기』의 시학적 공간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노어노문학 = Korean journal of Russian language and literature
ISSN 1225-041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9-01-01
초록 『이고리 원정기』에서의 “루시 땅”이라 일컫어지는 러시아 땅에 대해서는 러시아 땅이란 개념설정에서부터 시적 이미지의 해석에 이르기까지 많은 논란이 있어왔다. 이 글에서 역사적 측면에서 살펴본 '러시아 땅'은 기존의 논의인 '좁은' 의미의 러시아 땅, '넓은' 의미의 러시아 땅이란 논의와 조금 각도를 달리해, 러시아 땅 vs 러시아 땅 변경, 또는 러시아 땅 바깥이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한편, 〈원정기〉의 가장 큰 시학적 특징 중의 하나인 신화적 순환성에 대한 탐구라는 측면 역시 기존의 논의와 궤를 약간 달리했다. 통상 우주론적 스케일과 메타퍼의 차원에서 많이 논의되는 신화적 순환성을 아래의 논문에서는 역사성과의 결합을 시도해, 역사적 사실 역시 반복, 되풀이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그러나, 이고리의 원정이 일어난 12세기 후반부는 영광스런 과거, 할아버지대의 명예가 모두 러시아 땅의 변방, 또는 바깥에서 뒤집혀져 벌어짐을 지적할 수 있다. 또한 작품에서 활용되고 있는 메타퍼 역시 개별적 모티프의 수준에서 신화적이라기보다 모티프간의 결합을 통한 종합적인 제시 역시 신화적 차원임을 밝히려했다. 무엇보다 이고리의 부활과 정신적 갱생이라는 주제론 역시 삶과 죽음의 뚜렷한 경계의 부재와, 그 경계의 넘나듦이란 신화론적 사유에서 이해할 수 있음을 밝히려했다. 끊임없이 제기되는 텍스트 자체의 불완전함과 객관적 자료의 부재 등으로 인해 비록 단정할 수는 없지만, 무명의 작가의 궁극적인 시학적 의도 역시 러시아 땅은 역사적 공간이라는 기본적 토대 하에 영광스런 과거의 러시아 땅, 현재의 러시아 땅 주변의 공간 등을 신화적 매개를 통해 이해하며, 이 중첩되는 공간성을 뚜렷이 의식하며 자신의 문학적 공간, 즉 〈이고리의 원정에 관한 이야기〉를 축조해냈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626910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이고리 원정기』,루시 땅,러시아 땅,역사적 공간,신화적 공간,시학적 공간,이고리,변방,바깥,Tale of Igor quot,s Campaign,Land of Rus quot,. Russian land,Historical space,Mythical space,Poetic space,Igor,Boundary,Out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