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ANG, Yao-feng,SHAO, Ling-ling,LIU, Yu-xue,LV, Hao-hao,CHEN, Qing-fei,LIAO, Min,YANG, Sheng-mao |
초록 |
과수원 목초는 전통적인 청경(clean cultivation)으로 인한 수토유실, 토양 유기질 감소, 토양 비옥도 저하 및 과일 품질 열등을 해결하는 과수원 지면 관리조치 중의 하나이다. 서로 다른 목초 종류가 토양 유기탄소 및 그 활성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은, 과수원 토양 생태관리를 실현하고 유기과일 생산기술 시스템을 보완하며 과수원 토양 품질을 제고하는 과정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다. 복숭아 과수원의 인공재배 독보리(ryegrass)와 헤어리 베치(hair vetch)가 토양 총유기탄소(TOC)와 그 활성 성분[미생물 바이오매스 탄소(MBC), 수용성 유기탄소(WSOC), 경유분 유기탄소(LFOC), 중유분 유기탄소(HFOC) 및 코아세르베이트 유기탄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콩과 목초와 화본과 목초 재배가 복숭아 과수원의 토양 유기탄소 및 그 성분에 미치는 영향과 차이를 탐구하였다. 그 결과, 청정환경 경작지 대조그룹(CK)과 비교하는 경우, 독보리 재배 후, 토양 TOC, MBC 및 WSOC는 각각 5.13%, 76.4% 및 18.1% 제고하였다. 헤어리 베치를 재배한 경우, 토양 LFOC는 11.3% 제고되었고 토양 HFOC는 13.2% 감소하였지만 토양 TOC, MBC 및 WSOC에는 현저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독보리는 토양의 비교적 큰 입자크기( gt; 74 μm)의 코아세르베이트 유기탄소 함량을 현저히 제고하였고, 헤어리 베치는 토양의 비교적 작은 입자크기( TOC 제고에 있어서, 복숭아 과수원에 화본과 목초 독보리른 재배하는 것은 콩과 목초 헤어리 베치를 재배하는 것보다 낫았다. 토양 MBC, WSOC, LFOC 및 HFOC는 복숭아 과수원의 토양 품질 제고 여부, 토양 유기탄소 변화를 표징하는 민감 지표로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