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최창운,양승대,우광선,정위섭,임수정,서용섭,전권수,안순혁,이종두,홍성운,임상무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1998-01-01 |
초록 |
목적 : 본 연구는 3-[ $^{131}I$ ]iodo-O-methyl-L- ${ alpha}$ -methyltyrosine ([ $^{131}I$ ]OMIMT)의 종양영상용 방사성의 약품으로서의 유용성을 알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 $^{131}I$ ]OMIMT는 4-0-methyl-L- ${ alpha}$ -methyltyrosine (OMAMT)를 lodogen 방법으로 [ $^{131}I$ ]를 표지하여 얻었다. 9 L gliosarcoma 세포주를 배양한 다음 in vitro에서 [ $^{131}I$ ]OMIMT와 L-3-[ $^{131}I$ ]iodo- ${ alpha}$ -methyltyrosine ([ $^{131}I$ ]IMT)의 세포섭취율을 4시간까지 구하였다. 같은 세포주를 Fischer 백서의 우대퇴부에 이식하여 종괴를 형성한 다음 [ $^{131}I$ ]OMIMT와 [ $^{131}I$ ]IMT를 각각 주사하고 30분, 2시간, 24시간에 동물을 희생하여 종양내의 섭취와 체내분포를 조직gram당 주사량의 백분율(% ID/g)을 구하였다. 또한 종양이식 백서에 [ $^{131}I$ ]OMIMT 1.11 MBq을 정맥주사하고 30분, 2시간, 24시간 후 감마카메라로 영상을 얻었다. 결과: 9 L glioma 세포의 [ $^{131}I$ ]OMIMT 섭취는 30분에 최고점에 도달하고 이 후 4시간까지 감소하였으며, [ $^{131}I$ ]IMT에 비하여 배양 후 30분에서 3.3배(6.7% vs 2.3% uptake) 높았으나 4시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 $^{131}I$ ]OMIMT의 체내 종양내의 섭취를 [ $^{131}I$ ]IMT와 비교하였을 때, 주사 후 30분과( $3.74{ pm}0.48$ vs $0.38{ pm}0.17%$ ID/g, p $2.40{ pm}0.17$ vs $0.24{ pm}0.03%$ ID/g, p $0.04{ pm}0.01%$ ID/g)까지 감소하였다. 종양이식백서에서 [ $^{131}I$ ]OMIMT 주사 후 30분 영상에서 종양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 $^{131}I$ ] 또는 [ $^{131}I$ ]OMIMT는 종양의 아미노산 대사 영상제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앞으로 이에 대한 임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9813704583690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