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Heavey Mineral in the B03 Core on the North of the Yellow Sea and Provenance Implication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中國海洋大學學報 . Journal of ocean university of China 自然科學版 |
ISSN | 1672-5174, |
ISBN |
저자(한글) | ZHAO, Li,ZHAO, Guang-tao,HE, Yu-yang,XU, Cui-ling,QI, Qi,LONG, Xiao-jun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남황하이 해(South Yellow Sea) 북부에서 얻은 B03 구멍 코어(hole core)(330cm) 퇴적물에 대해 퇴적물 입도 및 중광물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전자 탐침 기술을 이용하여 그 전형적인 계층 각섬석(amphibole)의 광물화학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B03 구멍 주상 샘플은 균일하고 연속적인 미사질 퇴적물이며 중광물 함량은 비교적으로 낮고(평균 0.65%), 주로 운모군(mica group)과 각섬석군 광물이었다. 그리고 코어는 85cm 위치를 한계로 하여 상위와 하위의 2개 퇴적층을 나누고 그 중광물 조합은 각각 일반 각섬석-운모군 광물-녹렴석 및 운모군 광물-일반 각섬석-녹렴석이었다. 감석섬의 EPMA 분석 결과, 그 종속은 주로 Mg-각섬석이고 다음은 철섬석, 페로체르마카이트(ferrotschermakite) 및 양기석(actinolite)이며, 형성 원인은 주로 중산성 관입암(intrusive rock)과 중고급 변성암(metamorphic rock)이고 상위와 하위 퇴적층 각섬석 특징 원소 Mg/Fe 2+ 비율은 각각 2.03, 1.90이었다. 종합 분석 결과, 코어의 주요 기원은 황허 강(Yellow River) 물질과 산둥반도(Shandong Peninsula)의 대륙붕 기반암 침석 산물인 혼합적으로 유래하였다. 상위와 하위 퇴적층의 광물 특징 차이는 퇴적물 기원의 변화를 암시하였으며 그 경계선은 1855년 황허 강의 수로 변경 사건이 산둥반도 동부 대륙붕에서의 지역 반응을 대표할 가능성이 있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9781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muddy sediments,heavy minerals,amphibole,mineral chemistry,provenance,environment,니질 퇴적물,중광물,각섬석,광물화학,기원,환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