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ANG, Qi-fan,XUE, Ying,FENG, Xin-wei,ZHANG, Ge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목적: 본 논문은 특이성 섬유아세포 활성화 단백질(fibroblast activation protein, FAPα)의 효소 절단 위치를 가진 표적화 항종양(Tumor targeting) GP-CDD-iRGD 융합 단백질을 원핵발현한 후 정제하였다. 그리고 FAPα의 효소 절단 기능을 이용하여 융합 라벨을 제거하고 그가 FAPα 양성 종양 세포주에 미치는 독성을 검측하였다. 방법: GP-CDD-iRGD 유전자를 설계 및 합성하고, pGEX-4T3 벡터에 삽입하여 재조합 발현 플라스미드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BL21 대장간균의 감수성 세포에 형질전환하고 IPTG를 이용하여 유도 발현시킨 후, SDS-PAGE 분석과 Western blot 방법으로 융합 단백질의 발현을 검측하였다. GST 친화성 칼럼으로 융합단백질을 젱제한 후, 체외 세포 독성 실험(MTT 법)과 세포 사멸 실험을 통하여 해당 융합 단백질의 표적화 항종양 활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구축에 성공한 재조합 원핵발현의 플라스미드 pGEX-GPCDD-iRGD로 가용성 발현한 GST-GP-CDD-iRGD의 상대적인 분자량은 약 36 kDa이고, 정제 후 단백질의 순도가 약 90%에 달했다. MTT 실험을 통하여 그의 FAPα 양성 4T1 세포주에 대한 ED 50 이 약 18.5 μmol/L이고 유세포분석기술을 통하여그의 FAPα 양성 4T1 세포주에 대한 독성 작용이 선택성을 나타낸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의 조기 사멸 비율은 28%에 달했다. 결론: 원핵발현의 재조합 융합 단백질 GP-CDD-iRGD는 FAPα 음성 4T1 세포주에 대해서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FAPα 양성 4T1 세포주에 대해서는 뚜렷한 사멸 촉진 작용이 있었다. 이 결론은 GP-CDD-iRGD의 체내 표적 항종양 활성을 깊이 있게 연구하는데 근거를 제공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3482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