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terial Effectors Posttranslationally Modify Host Defense System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生物化學與生物物理進展 = Progress in Biochemistry and Biophysics |
ISSN | 1000-3282, |
ISBN |
저자(한글) | ZHANG, Li,SHAO, Fe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병원균 이팩터 단백질(bacterial effectors)은 숙주세포의 정상적 신호 전달을 파괴하는데 이는 병원균-숙주 상호작용의 중요한 구현이다. 이팩터 단백질은 독특한 생화학적 활성이 있으며 숙주세포 내에서 세균 감염 저항성과 연관이 있는 중요 통로를 차단한다. 최근 몇 년 동안, 병원균 이팩터 단백질의 작용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팩터 단백질 유도의 몇가지 새로운 단백질 번역후 수식(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을 발견하였다. OspF(outer Shigella protein F) 이팩터 단백질 패밀리는 포스포트레오닌(phosphothreonine) 분해효소의 활성이 있으며 제거(eliminylation)를 통해 숙주 MAPK 키나아제를 수식 및 불활성화한다. NleE(non-LEE encoded effector E) 이팩터 단백질은 시스테인 메틸화 수식을 통해 감염 유도의 NF-κB 염증 통로 활성화를 억제한다. NleB(non-LEEencoded effectorB) 단백질은 숙주의 사망 신호 통로를 억제하며, 억제 작용은 사망 도메인(death domains) 단백질에 대한 아르기닌 당화(glycosylation) 수식[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glucosamine) 전이효소 활성에 의해 유도된다]에 의존한다. VopS(Vibrio outer protein S), IbpA(Immunoglobulin-binding protein A) 등 Fic 도메인을 함유한 단백질은 AMP 유전자를 Rho 패밀리의 저분자량 GTPase의 보존적 세린(serine) 또는 티로신(tyrosine)에 전이시키며, 저분자량 GTPase의 불활성화 및 액틴 단백질 세포골격의 불안정성을 초래하며 이로써 세포 독성을 유발한다. 위에서 언급한 이팩터 단백질의 작용 메커니즘 및 생화학 활성에 대한 설명은 병원균의 발병 독성 메커니즘을 전반적으로 해석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단백질 번역후 수식 유도의 병원균-숙주 상호작용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고 진핵생물의 신호 전달 연구에 중요한 참고적 의미가 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625722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bacterial pathogen,type Ⅲ secretion system,effector protein,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innateimmunty,signal transduction,병원균,3형 분비시스템,이팩터 단백질,번역후 수식,선천성 면역,신호 전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