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REN, Na-na,XIE, Miao,YOU, Yan-chun,LI, Jian-yu,CHEN, Wei-jun,CHENG, Xue-min,YOU, Min-sheng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목적] 카르복실에스테라아제(carboxylesterases, CarEs)는 곤충의 중요한 해독 대사효소 중 하나로서 여러가지 살충제에 대한 목표 곤충의 대사 내성을 유도한다. 본 연구는 CarEs의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내약성 유도 기능을 검사하였고 배추좀나방의 해독 대사에서 CarEs의 생리생화학 및 분자 메커니즘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기법] 국소처리법(topical application)을 사용하여 배추좀나방 민감 개체군과 피프로닐 내성 개체군에 대한 피프로닐(fipronil)의 독성 및 CarEs 억제제인 트리페닐포스페이트(triphenyl phosphate, TPP)가 피프로닐에 대한 증진 효과를 측정한다. LC 30 과 LC 50 농도의 피프로닐을 사용하여 피프로닐 내성 배추좀나방을 처리한 후 CarEs의 활성 변화를 측정한다. qRT-PCR 기술을 사용하여 배추좀나방의 서로 다른 발육 단계, 조직, 개체군에서 Pxae22와 Pxae31 두가지 유전자의 발현 패턴을 분석한다. dsRNA를 사용하여 Pxae22와 Pxae31을 간섭한 후 유전자 발현의 변화 및 3령 배추좀나방 유충의 약제 민감성 변화를 관찰한다. [결과] TPP는 3령 배추좀나방 유충이 피프로닐에 대한 내성을 약화시켰고 증진 효과는 약 6배였다. 저용량(LC 30 와 LC 50 ) 피프로닐로 3령 배추좀나방 유충을 처리한 후 처리 그룹의 CarEs 비활성(specific activity)은 대조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다. 피프로닐은 배추좀나방 CarEs 활성을 유도하는 작용이 있었다. 배추좀나방의 서로 다른 발육단계, 4령 유충의 서로 다른 조직, 3령 유충의 서로 다른 개체군에서 CarEs 유전자 Pxae22와 Pxae31의 발현 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Pxae22와 Pxae31은 4령 배추좀나방 유충에서 발현량이 가장 높았다. 또한 4령 유충의 중장(midgut) 조직에서 높게 발현하였고 두부, 표피, 지방체(fat body) 중에서 발현량은 매우 낮았다. 내성 개체군에서 Pxae22와 Pxae31의 발현량은 민감 개체군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다. Pxae22와 Pxae31을 간섭한 후 qRT-PCR 분석 결과, 두가지 유전자의 발현량은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피프로닐의 독성을 측정한 결과, Pxae22와 Pxae31을 간섭한 후 3령 배추좀나방 유충의 피프로닐 민감성은 각각 1.63배와 1.73배 증가하였다. [결론] CarEs은 배추좀나방의 피프로닐 해독 대사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였다. Pxae22와 Pxae31은 배추좀나방의 두가지 내성 관련 유전자였고 그 발현 수준의 변화는 배추좀나방의 피프로닐 민감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2509433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