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haracterization of EST-SSR Among Six Genera of Rosacea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植物硏究 = Bulletin of botanical research
ISSN 1673-510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NG, De-fang,LI, Shu-xian,XIA, Ta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EST-SSR은 기능 유전체에 기반하여 개발된 분자 마커이며, 유전체에 광범위하게 분포되고 또 비교적 양호한 종속 일반성 및 표현형 형질과 관련되는 등 장점을 갖고 있어 광범위하게 응용된다. 본 연구는 공공 데이터베이스 중 장미과(Rosaceae) 장미속, 사과나무속(Malus), 배나무속(Pyrus), 살구속(Prunus), 딸기속(Fragaria), 산딸기속(Rubus)의 EST 서열을 다운로드하고 생물정보학 방법을 이용하여 6개속 중 SSR의 분포 법칙 및 특징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6개 속 사이 SSR 분포 빈도 차이는 비교적 컸으며, 산딸기속의 10.94%로부터 배나무속의 43.49%로 분포되었다. 디뉴클레오티드(dinucleotide)와 트리뉴클레오티드(trinucleotide) 반복 유형은 6개 속에서 우세를 차지하였으며, 그 중 디뉴클레오티드 반복 유형은 주요하게 AG/CT, GA/TC, AT/TA이었다. 트리뉴클레오티드 반복 유형은 6개 속에서 차이가 비교적 컸으며 우점 유형은 AGA/TCT, GAA/TTC와 AAG/CTT, CAC/GTG와 ACA/TGT 등이었고 비교적 양호한 속간 특이성을 나타냈다. 해당 결과는 장미과 식물의 분자 계통발육 및 진화, 유전자원 감정, 유전다양성 및 유전적 지도를 연구하는데 있어 연구 플랫폼을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158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Rosaceae,EST-SSR,EST,장미과,EST-SSR,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