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ZHANG, Zhou-jia,SHUAI, Peng,SU, Yan-yan,YIN, Wei-lun,XIA, Xin-li |
초록 |
ECT 유전자 집단은 이미 애기장대에서 발견되고 보고되었지만, 해당 유전자 집단의 식물이 역경 스트레스 조건에서 응답 과정에 참여하는지는 아직 보고된 바가 아주 적다. 버들잎사시나무(Populus euphratica) PeECT8 유전자의 기능에 대하여 연구하기 위하여, 버들잎사시나무 잎사귀의 cDNA에서 PeECT8 유전자를 복제하였으며 CaMV 35S::PeECT8 식물 발현 벡터를 구축하였다. 또한 플로러 담금법(floral dip method)을 이용하여 애기장대를 형질전환하고 GUS 조직화학적 염색(Histochemical staining)과 PCR 측정을 통하여 형질전환 식물을 얻고, 더 나아가 다양한 농도의 염분(NaCl)과 만니톨(Mannitol) 스트레스 조건에서의 형질전환 애기장대 종자의 발아율, 생장 잠재력과 뿌리 길이를 측정하였다. 서열 측정 결과, 해당 유전자의 인코딩 구역 길이는 1,821 bp이며 606개의 아미노산을 인코딩 할 수 있다. 단백질 서열을 비교한 결과, PeECT8 유전자와 포플러 나무의 PtrECT8 상동 유전자로 인코딩한 아미노산의 일치성은 93.42%이며 PeECT8 단백질은 하나의 YT521-B-like 보수적 도메인(conserved domain)을 함유하고 있다. 야생형과 비교하였을 때 PeECT8을 과발현한 애기장대는 다양한 농도의 NaCl 스트레스 조건에서 발아율이 낮아지며 D-만니톨 스트레스 조건에서 발아율은 뚜렷한 변화가 없다. NaCl과 D-만니톨 스트레스 조건에서 형질전환 애기장대의 신장 길이는 야생형에 비해 짧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PeECT8 유전자는 염분 스트레스와 삼투 스트레스 조건에서 음성(-) 조절 작용을 발휘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