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valuating the Left Ventricular Diastolic Function of Diabetes Mellitus Patients Using Dual-gate Doppler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醫學工程學雜志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ISSN 1001-551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U, Jia-ni,CHEN, Li-ping,ZHANG, Xiao-ling,SHANG, Yan-wen,WANG, Fang,TANG, H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이중 펄스 도플러 기술(dual-gate Doppler)로 제2형 당뇨병(diabetes mellitus, DM) 환자의 좌심실 확장 기능을 평가하는 응용 가치를 탐구하고, DM 환자의 좌심실 확장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소를 분석한다. 비만이 아니고 고혈압 병력이 없는 50명의 제2형 DM 환자와 연령, 성별이 매칭되는 48명의 지원자를 연속 도입하였다. HITACHI Ascendus 도플러 초음파 진단기기와 이중 펄스 도플러 동기화 샘플링 기술을 이용하여, 승모판구(mitral orifice) 확장 시기의 피크 유속(E, A), 감속 시간(deceleration time, DT), 승모판 전방 환체 확장 시기의 피크 유속(e'), 좌심실 등용성 이완기(isovolumic relaxation time, IVRT)를 측정하였으며, E/A, E/e' 비값, Tei 지수 및 E와 e'의 초기 시간차(T E-e' )를 계산하였다 임의로 20명의 실험용 환자를 선택하여 IVRT, T E-e' 의 반복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두 그룹의 좌심실 확장 기능 파라미터 비교 결과, DM 그룹 E/A 비값, e'는 감소하였고, E/e' 비값, Tei 지수는 증가하였으며, DT, IVRT, T E-e' 는 연장되었고 그 차이는 통계학적 의미를 나타냈다(P E-e' 와 IVRT는 정(+)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0.415, P=0.000). DM 환자 질병 경과는 T E-e' 와 정(+) 상관관계(Beta=0.295, P=0.020), 당화 헤모글로빈(glycosylated hemoglobin, HbA 1C ) 수준은 T E-e' 와 정(+) 상관관계(Beta=0.399, P=0.010)를 나타냈다. 반복성 분석 결과, IVRT, T E-e' 측정 그룹 내와 그룹 사이 반복성은 비교적 양호하였다. 이중 펄스 도플러 기술은 DM 환자의 좌심실 확장 기능을 평가하는데 임상적 응용 가치를 갖고 있으며, T E-e' 는 좌심실 확장 기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참조적 지표로 될 수 있다. DM 환자의 질병 경과 및 HbA 1C 의 제어 수준은 좌심실 확장 기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231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diabetes mellitus,dual-gate Doppler,left ventricular diastolic function,당뇨병,이중 펄스 도플러 기술,좌심실 확장 기능